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립
구성
복합
혼합
동화
합성염료
염료
d라이브러리
"
합성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디자이너’ 등장할까?2003년에 미국 MIT의 생물학과와 전기컴퓨터공학과 연구원들은 ‘
합성
생물학실험’이라는 수업을 개설했다. 이 수업에서 이들은 각종 유전자 부품을 조립해 새로운 생물 시스템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생물벽돌’(BioBricks)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벽돌의 종류가 많을수록 지을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름찌꺼기가 없어질 전망이다.유흡착제로 회수하고 유처리제로 분산시켜 유흡착제는
합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얇게 뽑은 섬유를 ‘니들 펀칭’이란 기법으로 만든 일종의 압축솜이다. 따라서 확대해 보면 섬유가 복잡하게 엉켜 있어 표면적이 매우 넓다. PP는 기름과 친하고 물을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정도로 설정하면 무난하다.이렇게 찍은 사진들을 포토샵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합성
하면 도시의 멋진 야경을 배경으로 달이 움직이는 궤적을 한눈에 볼 수 있다.달은 제 갈 길을 향해 발길을 옮길 뿐이다. 하지만 저녁 무렵 달을 한번쯤 올려다볼 여유가 있는 사람에게만은 ‘친절한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산하거나 환경오염을 막는 미생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하지만
합성
생물학의 미래가 장밋빛인 것만은 아니다. 만약 누군가 나쁜 의도로 인체에 치명적인 미생물을 만들어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적다는 생각이 든다.리보솜*RNA와 단백질로 이뤄진 복합체로서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
한다.tRNA*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전달RNA.▼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넣으면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리튬배터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신물질은
합성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특성과 기능을 밝히는 점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사란 유전자 DNA를 주형으로 해 RNA 중합효소가 RNA를
합성
하는 과정이다게놈 내에 존재하는 유전인자다 게놈 증식과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증식하고 이동한다염색체의 양말단 부위다 염색체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산식물인 담자리 꽃은 지난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여하튼 벤터 박사의
합성
유전체와 반(半)
합성
세포 연구가 인간이 새로운 세포를
합성
하는 ‘생명 2.0’ 시대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트랜스포존*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유전자’(jumping ... ...
블럭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너의 상상에 달려 있는 거지. 레고(LEGO)는‘잘 논다’라는 뜻의 덴마크어‘LEG GODT’를
합성
한 말이래. 나와 잘 놀면서 무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 봐! 미래에 친구들이 멋진 과학자가 됐을 때 도움이 될지도 모르잖아 ... ...
적혈구만 한 ‘나노 다보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양동열, 공홍진 교수팀이랍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걸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액체
합성
수지나 세라믹에 레이저를 쏘면 액체가 굳어요. 연구팀은 이렇게 굳은 물질을 수백 층 넘게 쌓아 다보탑을 만들었어요. 이 다보탑은 폭20*마이크론, 높이 25마이크론이에요. 머리카락 단면 위에 이 다보탑을 2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