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단층면을 따라 분지의 기반(基盤)지형이 함몰(陷沒)하여 생긴 단층분지의 하나 즉,
한쪽
은 급경사의 산지이고 반대쪽은 경동지괴(傾動地塊)의 뒷면에 의해 막혀 있는 분지를 말한다대개 단층으로 막혀 있는 쪽의 가장자리는 직선적이지만 그 반대쪽의 가장자리는 들쭉날쭉하다중국 산시성(陜西省)과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에어스프링은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 같은 역할을 하죠. 그리고 유물을 옮길 때
한쪽
으로 쏠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도 달려 있답니다. 유물을 나르는 차량은 사고가 나지 않도록 시속 60㎞ 이하로 달리며 운송 책임 관리자가 늘 함께 타고 있어요. 혹시 차를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교수는 원하는 거울상 이성질체만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구두제작자가
한쪽
발 모양의 구두골(발모형)로 양쪽 신발을 만드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원하는 거울상을 만드는 틀을 만든 뒤 원하는 거울상 이성질체만 찍어냈다. 이 연구결과는 독일 유명 화학저널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따라 카본 비트(carbon bit)와 보츠 비트(bortz bit)로 나누며 전자는 연강(軟鋼) 모서리의
한쪽
끝에 비교적 큰 입자의 브라질산 검은색 다이아몬드 카르보나도(carbonado)를 4~8개 박아서 만든 것이며 후자는 비교적 작은 입자로 공업용 다이아몬드(보츠)를 하나의 비트에 100~200개 정도 박아 만든 것이다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자기 집에 옮겨와 흰개미집버섯 균사로 일부러 썩힌 다음 먹는다. 썩은 낙엽퇴적물
한쪽
에서는 흰개미집버섯이 피어 포자를 퍼뜨리고 이 포자는 균사로 변해 퇴적물을 분해한다. 흰개미의 애벌레는 균사 덩어리나 포자 가루로 뒤범벅된 썩은 낙엽을 먹고 자란다. 곤충과 함께 버섯은 자연의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구석기시대 중에서도 전기(前期)의 것으로 추정 · 평가되고 있다 나일론 섬유를 종래의 초지법(抄紙法)과 거의 같은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다른 도체 두 개를 붙여 만든 회로에 직류전류를 흘리면
한쪽
도체는 가열되는 반면 다른
한쪽
은 냉각되는 현상이다. 칩 뒷면에 펠티에효과가 나타나는 실리콘과 금속으로 이뤄진 전극을 붙여 전류를 흘리면 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반도체칩의 집적기술이 제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칩의 열을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분해를 되풀이 적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곱셈 회수를 N(n-2)/2 정도로 내릴 수 있다이 밖에
한쪽
인수를 3,4,5,68 등으로 한 여러 가지 변법이 알려져 있다고속푸리에변환과 그 역변환에 의해 시계열과 그 주파수스펙트럼 사이의 변환이 자유롭게 되므로 시계열의 상관함수·합성곱의 계산·필터링 등이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밀리다가 다른 대륙판과 충돌하면 높은 산맥이 만들어진다.F 해양판끼리 충돌하면
한쪽
이 침강하며 해구를 만든다.G 바다 위에 화산섬이 생긴다.초대륙의 중심에 한반도가?지질학자들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용융된 마그마가 식어 화성암으로 굳을 때나 퇴적물이 쌓일 때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A단백질이 양전기(+)를 띠면 짝이 되는 단백질은 음전기(-)를 띤다. 손을 잡을 때도
한쪽
이 손바닥을 위로 보이게 하면 다른 한 쪽은 손바닥을 아래로 향해야 맞잡을 수 있듯, 생체분자도 모양과 정전기가 상보적으로 맞아야 결합할 수 있다.생체분자의 모양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그가 1985년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