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계"(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알려진 문제였다.그러나 뉴턴역학이 너무나도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아무도 뉴턴역학의 한계라고는 생각하지 않고, 예외적인 상황으로 남겨두었다.이 문제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해결했다.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영역에서는 공간의 굴곡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빛이 ...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중 질량이 작고, 물체의 이동 속도가 낮은 상태의 근사치라고 규정한 근본적인 한계때문이다.그런데 2004년 야곱 베켄스테인 이스라엘 히브리대 이론물리학과 교수가 해법을 발견했다.베켄스테인 교수는 중력의 근원이 중력 양자만이 아니라 스칼라 입자, 벡터장에 의한 것이라는 TeVeS(Tensor-Vector-Scalar ... ...
- 성스러운 생태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돌출된 우주-믿으믿의 일부분일 뿐이다.가설만이 무성한 것은 은하 문명이 아직 광속의 한계를 완전히 뛰어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은하계 전역에서 가장 뛰어난 외계학자들이 냉동 수면에 빠진 채 이 행성을 향해 달려오고 있지만, 정보와 달리 물질은 아직 빛의 속도 아래에 묶여 ... ...
- INTRO. NEO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정점에 달하면 모순도 커진다고 했던가.역설적으로 인류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DNA의 한계를 봤다.인간이 지닌 유전자는 고작 2만 5000개. 복잡한 생명현상을 일으키기에는 터무니없이 적은 수다.더구나 전체 DNA의 거의 대부분은 유전자를 만들지도 않는다.이제 인류는 DNA의 나머지 97%를 탐색하고 ...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거리는 무려 100m. 물속에서 헤엄치는 물뱀도 있을 정도로 가늘고 긴 몸으로 움직이는 데 한계가 없다(물뱀은 바다뱀의 일종으로 강이나 개울에서 헤엄치는 뱀은 물뱀이 아니다).뛰어난 환경 적응력 덕분에 뱀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물론 도심에서 보기 어려워졌지만 뱀은 분명 유연함 ...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생산, 교육에 쓰였다. 그러나 이들은 열출력이 모두 2MW 이하로 낮았고, 용도에도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트리가 마크II와 III는 1995년 가동을 중단했다.1985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1995년 가동을 시작한 하나로는 처음부터 다양한 목적을 갖고 태어났다. 원자력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핵연료 개발, 원자력 ... ...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짝을 이루고 있는 다른 별(동반성)로부터 질량을 빼앗아와 점점 무거워지다가 질량이 한계를 넘어서면 핵융합이 일어나 초신성이 된다. 이 순간의 질량이 똑같기 때문에 밝기는 항상 같다 ...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한자를 사용했다. 수소(水素), 산소(酸素), 질소(窒素)가 그런 경우다. 그러나 그런 방법은 한계가 있었고, 결국 서양 원소 이름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플루오린의 경우 기체를 뜻하는 ‘ ’와 플루오린의 발음과 닮은 ‘弗(불)’을 결합시킨 ‘ ’이라는 한자를 사용했다. ... ...
- 글로벌 녹색성장 우리나라가 주도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관련한 지구환경기금이나 적응기금 등이 있었으나 규모가 작고 특정분야만 지원하던 한계가 있었다. GCF가 송도에 들어서기로 한 곳은 내년 2월 준공을 앞두고 있는 아이타워(I-Tower)다. 한 때 2000억 원에 달하는 사업비 부담 때문에 건설을 중도 포기해야한다는 여론은 이제 완전히 사라지고 금융 ...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정해져 있는 만큼 세공 크기도 정해져 있다. 다양한 원소들이 자유롭게 넘나드는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세공 크기가 다양하면서도 표면적이 제올라이트보다 넓은 물질이 필요해졌다. 한국화학연구원 장종산 박사팀은 제올라이트보다 훨씬 성능이 뛰어난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