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촉촉하고 달콤해~ 예각, 둔각 쿠키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 달콤이 쿠키를 만들기 위해 반죽에 쿠키 틀을 찍고 있어요. 다양한 모양의 쿠키를 만들기 위해 각도를 활용하네요. ... 해요. 둔(鈍)은 한자어로 ‘둔하다, 무디다’라는 의미이지요. 달콤은 둔각과 예각이 하나씩 포함된 쿠키 틀을 각각 반죽에 찍었네요 ... ...
- [M 몬스터를 잡아라!] 우리는 무슨 관계일까? 가르기·모으기 변신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수 10을 2개~4개의 수로 가르는 게임이에요. 먼저 게임판에 1부터 9까지의 수가 적어도 하나씩은 있도록 칸을 채워요.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참가자부터, 모두 더했을 때 10이 되는 수 2개~4개를 칠해요. 더이상 게임판 위의 수를칠하지 못하는 참가자가 져요. 아래 게임판으로 직접 게임을 해 보세요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학창시절 글쓰기를 좋아하셨어요. 수학과 예술이 얼마나 맞닿아 있다고 생각하나요? A. 수학은 글쓰기나 음악 같은 예술의 한 분야라고 생각해요. 언어의 종류가 다를 뿐 모두 표현하기 어려운 대상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같지요. 어쩌면 수학은 대단히 아름다운 종류의 구조들이 세상에 있다는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같은 사각형 그래프 G를 하나 생각해 봅시다. 3가지 색을 써서 칠한다면 어떨까요? 꼭짓점 하나의 색을 정하고 나면 인접한 두 꼭짓점의 색이 같은 경우는 3×2×2=12 가지예요. 다른 경우는 3×2=6가지의 방법이 있으므로 18가지입니다. 이처럼 계속 구해 보면 그래프 G의 채색 다항식은 χG(q) = q4 - 4q3 + 6q2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유일하게 표현되므로 소수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정수론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소수를 연구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소수의 불규칙성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속한 두 소수의 차이인 pn+1-pn은 매우 작을 때도 있고, 클 때도 있습니다. pn+1-pn이 작은 경우를 연구하기 위해 세 명의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30년간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이는 것은 교과서 하나 정도의 분량이 나올만큼 연구된 내용이 적습니다. 브레이버먼 교수님의 연구는 이 교과서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안정성’에 관한 연구입니다. 양전하와 음전하로 구성된 물질을 가만히 두었을 때 하나의 점으로 붕괴하지 않고, 안정된 원자 구조를 가질 수 있는지를 ‘리브-티링 부등식’을 증명해 밝혔습니다. 이 증명은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천체물리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의 블랙홀 연구에 ...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선 위로는 다시 선을 그을 수 없다는 조건이 추가되면 첫 번째 선 이후로는 두 갈래길 중 하나를 무작위로 정해 선을 긋게 됩니다. 이렇게 그은 선을 SAW라고 해요. 뒤미닐-코팽 교수는 n이 커질 때 원점에서 출발한 SAW의 모든 경우의 수의 증가 속도를 연구했어요. 지도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4색으로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때 이웃한 꼭짓점은 서로 다른 색이 돼야 한다. q가 4일 때 채색다항식의 경우의 수가 하나 이상 있다는 것이 4색 정리가 된다. 1932년 조지 볼코프와 해슬러 휘트니가 정리했다. 로그-오목 관련 추측 허준이 교수는 리드 추측을 강화한 리드-호가 추측을 시작으로 여러 조합수학 문제에서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안구공유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할까요? 2런 연구도 있습니다 │ 선생님, 기억 좀 지워주세요뇌 이식이라니, 기억 하나 없애려고 벌이기엔 너무 거대한 일이네요. 뇌를 맞바꿀 생각은 살포시 접고 원하는 기억만 없앨 단서를 살펴보죠. 우선 기억이 어디에 저장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지난해 8월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