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벽돌 모양 장치로 초대형 홀로그램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쏘는 여러 개의 장치가 각각 전체 이미지의 일부를 만들어내면, 이 이미지들을 합쳐 하나로 전체의 큰 이미지를 만드는 기계예요. 기존에 상용화된 장치로 만들 수 있는 홀로그램의 크기는 가로세로 너비가 5cm 정도였는데, 이 기기를 사용하면 훨씬 큰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답니다. ●해상도: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때문에 검사 결과에 혼란을 줄 수 있거든요. Q거짓말 탐지기는 어떻게 거짓말을 판단하나요?검사관이 피험자의 반응 차이를 관찰합니다. 피험자가 대답하는 와중에 앞선 대답과 다른 신체 반응이 관찰되면, 거짓말이라고 판단하죠. 이를 분석하기 위해 폴리그래프 검사 장비나 뇌파 검사 장비 등이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촉촉하고 달콤해~ 예각, 둔각 쿠키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 달콤이 쿠키를 만들기 위해 반죽에 쿠키 틀을 찍고 있어요. 다양한 모양의 쿠키를 만들기 위해 각도를 활용하네요. ... 해요. 둔(鈍)은 한자어로 ‘둔하다, 무디다’라는 의미이지요. 달콤은 둔각과 예각이 하나씩 포함된 쿠키 틀을 각각 반죽에 찍었네요 ... ...
- [M 몬스터를 잡아라!] 우리는 무슨 관계일까? 가르기·모으기 변신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수 10을 2개~4개의 수로 가르는 게임이에요. 먼저 게임판에 1부터 9까지의 수가 적어도 하나씩은 있도록 칸을 채워요.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참가자부터, 모두 더했을 때 10이 되는 수 2개~4개를 칠해요. 더이상 게임판 위의 수를칠하지 못하는 참가자가 져요. 아래 게임판으로 직접 게임을 해 보세요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학창시절 글쓰기를 좋아하셨어요. 수학과 예술이 얼마나 맞닿아 있다고 생각하나요? A. 수학은 글쓰기나 음악 같은 예술의 한 분야라고 생각해요. 언어의 종류가 다를 뿐 모두 표현하기 어려운 대상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같지요. 어쩌면 수학은 대단히 아름다운 종류의 구조들이 세상에 있다는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얼마나 중요한 수학자인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학자가 평생 이런 문제를 하나도 해결하기 힘든데, 만 40세가 되기 전에 이렇게 많은 난제를 해결한 걸 보면 누구든 허 교수가 필즈상을 받고도 남을 성취를 했음을 알 수 있지요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받았습니다. 양-밀스 방정식은 시간에 따라 유한 속도로 퍼져나가는 비선형 방정식 중 하나예요. 이 연구로 오 교수는 최연소로 2016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만 40세 미만 유망한 과학자에게 수상하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받았습니다. 양-밀스 방정식, 아인슈타인 방정식 등 우주의 비밀을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는 쌍둥이 소수 추측은 정수론에서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난제 중 하나입니다. 많은 수학자는 이 추측의 완전한 해결은 상당한 세월이 필요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런데 2013년 놀라운 연구가 발표됩니다. 바로 이탕 장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 바바라 교수가 연속한 두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유명 인사였습니다. 2016년 그는 당시 만 31세의 젊은 나이에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 중 하나인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에서 최연소로 종신 교수직을 받고, 2018 세계수학자대회(ICM)에서 초청강연을 했습니다. 그런 그가 필즈상을 받는 것이 놀라운 일만은 아닐 겁니다. 뒤미닐-코팽 교수의 연구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안정성’에 관한 연구입니다. 양전하와 음전하로 구성된 물질을 가만히 두었을 때 하나의 점으로 붕괴하지 않고, 안정된 원자 구조를 가질 수 있는지를 ‘리브-티링 부등식’을 증명해 밝혔습니다. 이 증명은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천체물리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의 블랙홀 연구에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