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설계와 구조공학 두 분야를 융합한 교과목을 개발해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는 건축 디자인과 구조공학을 접목한 ‘구조의 이해’ ‘구조 디자인’ 등 교과목을 직접 개발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후배 공학도들에게 “처음부터 남보다 특별할 필요는 없다”며 “자신이 ...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경우에는 실험 수업을 낙제할 경우 바로 퇴학 처리된다. 물론 실험 수업에서 낙제를 하는 것은 수업에 불참하지 않는 이상 거의 불가능하다. 불참할 경우 합당한 이유를 사전에 설명한다면 다시 실험 일정이 잡힌다. 그 밖에도 1년 내내 있는 실험 수업의 결과 하나하나가 성적에 영향을 미친다. ... ...
- [맛있는 수학] 철판 아이스크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수를 보면 대략 평균 기온이 높을 때 판매량이 좀 더 크다는 느낌이 들죠? 이제 이 정보를 가지고 그래프를 그려 본격적인 상관계수 구하는 법을 알아보죠! 하지만 이 정도로는 ‘서로 관계가 있는 것 같다’고 추측할 수는 있어도 구체적으로 두 변수가 얼마나 밀접하게 상호 의존하고 있는지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싶고, 과학자가 된다면 핵융합 발전 같은 신재생 에너지 기술을 완성해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요. Q폴리매스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수학처럼 어려운 학문은 첫인상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렸을 때 계산보다 창의력 수학을 주로 배워서 수학을 일종의 ‘놀이’라고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원하는 어떤책이든 읽을 수 있죠. 그런데 책이 많아도 너무 많아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요. 검색대 조차없다면 어떤 방법을 쓰면 될까요? 이럴 때 사용하는 방법이 검색대에 쓰이는 알고리듬인 ‘탐색 알고리듬’이에요.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빨리 정확하게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없지만 물체표면에 살짝만 닿아도 방향을 잽싸게 바꿔요. 또 무게는 12g로 작고 가벼우며, 제 무게의 2배가 넘는 27g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요. 신얀 덩 교수는 “그동안 가벼운 로봇은 공기가 물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인 양력을 충분히 받지 못해 비행이 불안정했는데,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벌새의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직원, 두 아이의 엄마로 살고 있다. 참고자료 로제 카이와 ‘놀이와 인간(로제 카이와)’, 김건희 ‘나는 보드게임 작가다’, 휴 버크파트 ‘Design a Board ... ...
- [본격 게임 채널] 쿠키런 : 오븐브레이크, 이차함수로 젤리 많이 먹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거인으로 만들어 주는 아이템을 쓰지 않는 이상 말이죠. 이렇게 퍼져 있는 경우 언제 점프를 해야 젤리를 많이 먹을 수 있을까요? 정확하게 알기 위해선 개발자가 게임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게임을 하면서 관찰한 내용을 근거로 몇 가지 가정을 한 뒤 분석해보죠! 쿠키의 속도와 ... ...
- 여기는 국내 유일 특성화고 전문 채널!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특성화고를 졸업하고 회사에서 3년 이상 근무하면 수능 점수 없이도 대학에 갈 수 있는 제도입니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더 하고 싶은 공부에 맞춰 대학에 다닐 수 있으니 걱정은 접어두세요! 물론 졸업 후 바로 진학할 수도 있답니다 ... ...
- [스타쌤의 꿀팁] 수학 잘하고 싶다면 '왜?' 라고 질문하세요~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형성평가에서는 답이 틀려도 풀이 과정이 맞으면 만점을 받을 수 있고, 재시험이라는 제도가 있어서 딱 한 번 시험을 다시 치를 수도 있어요. 이렇게 평가하는 이유는 평가의 목적이 줄 세우기가 아니라 학생들이 지식을 얼마나 습득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기 때문이에요. 그 취지를 십분 살린 결과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