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있는 것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는 취미로 즐기는 VR드론부터
전문가
용 드론까지 수요가 충분히 형성돼 있다”며 “수요가 많으면 정부가 나서서 규제 문제를 빠른 속도로 해결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세계 드론업계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져 올해에는 작년만큼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
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이 있어요. 지구상의 많은 생물들이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결과, 우리나라엔 4만 5295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하지만 아무리
전문가
들이라고 해도 모든 생물종을 확인할 순 없는 법~!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우리나라 땅의 넓이와 기후 등을 고려해 생물 종의 수를 계산해 본 결과, 약 10만 종 정도의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답니다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자료를 수집했다. 또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최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연수에 참여해
전문가
들을 만나 관련 정보를 얻기도 했다. 그리고 직접 자료집을 만들었다. 코딩을 낯설어 하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처음에는 신호등이나 자동문처럼 간단하지만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을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퍼스에 위치한 호주연방과학원에 70명의 과학자가 모였다. 각국에서 내로라하는 과학
전문가
들이 한 자리에 모인 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마스2020’ 탐사 프로젝트에 관해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였다. NASA는 2020년에 새로운 로버를 태운 무인 우주선을 발사해 유인 탐사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할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나는 상대의 말을 믿지 않았다. 여론조사 한 번 돌리는데 돈이 얼마나 드는데……. ‘
전문가
패널’이랍시고 단톡방 하나 만들어놓고 스무 명쯤 되는 카카오 인맥들한테서 의견 받아봤나 보지, 정도로 여겼다.그날 K 의원은 결국 자리에 돌아오지 않았다. 본회의 중에 여당 의원 한 명이 갑자기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
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 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이 있어요. 지구상의 많은 생물들이 ... ...
[Editor’s Note] 화성 몽상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주인공이 되면서 화제가 됐다. 어려운 개념을 돌파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국내외 최고의
전문가
들 덕분이었다. 올해도 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 분야의 국내 최고 석학에게 상세한 해설 기사를 청해 실었다. 아무리 신문 기사를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면 이번 기획을 찬찬히 보시라 권하고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물론 달에 만들 거주지를 위한 설계지만, 화성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
들의 추측이다. 안호상 건기연 연구위원은 “피치 못할 때는 지상에 거주지를 건설하겠지만 거주지 1순위로 꼽히는 곳은 큰 구덩이 형태의 지형”이라며 “화성의 극한 환경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지하에 도시를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돌기가 없어요.일리 : 매와 새매는 왜 부리가 다르게 생긴 거지?새매 : 둘 다 사냥의
전문가
지만, 사냥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부리의 모양도 다른 거예요. 새매는 빠르게 땅으로 내려와 땅에 있는 먹이를 사냥하고 그 자리에서 먹어요. 하지만 매는 공중에서 먹이를 곧바로 사냥하는 습성을 가지고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