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료"(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주 재료는 치킨이나 족발 같은 육류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6년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51.3kg의 육류를 섭취했습니다. 돼지고기 소비(24.3kg)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닭고기(15.4kg)였습니다. 아침부터 고기를 먹는 경우는 드물 테니 주로 저녁이나 밤에 먹는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무풍불기랑(無風不起浪). 바람이 불지 않으면 물결이 일지 않는다는 말로, 어떤 일이든 항상 원인이 있다는 뜻이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라는 우리 속담과 유사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투유유(屠) 중국중의과학원 교수를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오리 159만 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다행히 1월 20일 현재 구제역은 발생하지 않았다. 둘 다 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어서 백신은 한계가 있다. 예방이나 치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류의 역사는 환경에 대한 도전과 이를 극복하며 이용해 온 과정이라할 수 있다. 초기 자연에 대한 숭배의 단계에 머물던 인류는 농경을 시작하며 이용의 단계로,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자연을 정복하려는 단계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승리를 획득했다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최근 한 아이돌 그룹의 멤버가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젊고 아름다우며 능력을 인정받던 사람이었다. 그를 죽음으로 이끈 건 다름아닌 ‘우울증’이었다. 그의 충격적인 죽음은 우리 자신을 되돌아보게 했다. 우리는 과연 우울증의 안전 지대에 있는 걸까. “우울증의 정도가 심합니다. 우울증센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박사의 발표에 따르면, 1548마리의 건강한 개 중 16%가 심각한 식분증을 보였습니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하트 박사는 “건강한 개가 보이는 식분증은 정상행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똥이 맛있어서 먹는다?하지만 하트 박사가 주장한 사실에는 중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건강한 개’가 보이는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해요. [실전!] 개의 경고 행동을 관찰하자!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해마다 2000여 명이 개에게 물려요. 개에 물리는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목줄을 채우고, 입마개를 하는 등 보호자가 반려견을 잘 관리하는 것이 가장 먼저예요. 그다음으로는 개가 공격하기 전에 보이는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작도와 합동, 대칭 원리가 더해져 지금은 수학 시간에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수업자료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크리스마스 장식으로도 쓰이고 있다. 이처럼 합동과 대칭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주제이며 예술적 조형미와도 관련이 깊다. 도형의 합동과 대칭을 학습해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독일 대표단이 됐어요. 오래 전 부터 곰과 늑대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독일의 자료를 조사해서 아래와 같은 기조연설문을 작성했어요. 워크숍에서 철원 두루미 마을을 다녀온 경험도 인상 깊었어요. ‘두루미 자는 버들골 마을’에서 철새를 관찰하고, 두루미 생태강연도 들었답니다.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밤 8시~10시 사이에 하늘에서 페가수스자리를 확인하는 미션이 진행 중이랍니다. 관측 자료는 전세계의 빛 공해 지도를 만들고, 빛 공해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 데 사용돼요. 관측위성만으로는 실제 하늘의 밝기를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시민들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빛 공해 정도를 더 정확히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