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인간의 몸에서 가장 작은 세계에 들어가 관찰하는 연구실. 서대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가 이끄는 ‘작은 실험실(SMALL Lab·Single Molecule Approaches to ceLL Lab)’ 얘기다. 작은 실험실에서는 10~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인 세포보다 1000배가량 ...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아프리카 내전 지역에서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을 펼치고 있어요. 아프리카주머니쥐는 인간보다 후각이 1억 배 이상 뛰어나 화약을 잘 찾아낼 수 있을 뿐 아니라 1.5g 안팎의 가벼운 몸무게 때문에 지뢰를 밟아도 터질 가능성이 없어 지뢰작업에 적합하지요. 아포포는 흙 속에 화약을 묻고 이를 찾아낼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놓고 토론을 벌였죠. 인간은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뿜습니다. 식물은 인간과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배출합니다. 그래서 남미 열대우림인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로 불리죠.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이산화탄소를 없애기 위해 집안에 식물을 둘 필요는 없습니다. 집안에 ... ...
- 우주로 갔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도는 집단 우주 유영 모습도 보여줬지요.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가 우주 비행에 대한 인간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근거를 줄 수 있으며, 향후 이어질 우주 장기 체류 쥐 실험의 유용성을 보여준 셈”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오가노이드, 미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오가노이드를 사용하면 동물에게 발견되지 않았던 부작용이 인간에게 발견되는 동물 실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요. 또한 동물들이 실험에 희생될 필요가 없답니다. 미라(mummy) 미라는 썩지 않은 채로 보존된 사람이나 동물의 시체를 말해요. 주로 사후세계를 믿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게놈아시아 100K’입니다. 프로젝트를 주도한 김혜림 싱가포르 난양공대 교수는 “인간 게놈에서는 개인이나 민족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고 강조합니다. 가령 이번 결과로 한중일 삼국의 민족은 와파린 부작용을 일으키는 유전 요인의 빈도가 다른 민족에 비해서 높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인간의 오감으로 판단하는 과정)에서 검사 참가자의 대부분이 지방맛을 느끼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마블링이 고기의 풍미*, 조직감*, 다즙성*에 고루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맛있다’는 느낌을 준다고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꽤어려워요 | 퀀텀닷 완전정복 “인간의 머리카락 한 가닥 두께보다 5만 배 이상 작은 퀀텀닷(quantum dot) 기술을 처음 적용해 선명한 색상을 만들어 기존 TV보다 2배 이상 밝다.”(BBC, 2015년 1월 6일)2015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전 세계 최신 전자제품이 한자리에 모이는 세계 최대 전자 정보통신기술 ... ...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역사와 그동안 증명을 마주했을 수십 억 명의 사람들을 생각할 때 이 방법이 오늘날까지 인간의 발견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그럼에도 이 방법이 알려지거나 가르쳐지지 않았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렌트 요기 미국 헨드릭스칼리지 수학 및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심할 경우 심장마비에 이를 수 있습니다. 특히 동물에겐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인간의 경우 먹었을 때 50%를 사망시키는 독성물질의 양(LD50)이 1kg당 1000mg이지만, 개는 300mg에 불과합니다.예를 들어 몸무게가 70kg인 사람은 테오브로민 LD50에 해당하는 양이 70g입니다. 테오브로민이 100g당 약 800mg 함유된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