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앞서 구한 81개 각 나라의 의미망 네트워크를 비교해 몇 가지 경향성을 찾아냈다.
우선
의미 네트워크 상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의미적으로 가까운) ‘바다와 소금’은 다른 언어의 의미 네트워크 상에서도 가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언어의 의미 네트워크에서 ‘바다와 태양’은 그보다 ... ...
[수학동아클리닉] 신체의 선으로 기본도형 표현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수학 대신 몸을 움직이며 도형을 표현해보는 활동적인 수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도형의 기본인 점, 선, 면에서 시작해 각의 성질,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평행선의 성질 등에 대해 학습한다. 신체를 이용해 관련 내용을 선으로 표현해보며, 수학 내용을 내면화한다. 최종적으로 아래 내용을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82%가 간과 심장에서 나타난 독성 때문이었다. 그 때문에 학자들은 다른 조직보다
우선
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해 온전한 간세포와 심장세포를 만들고 있다. 박한진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모델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전세계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줄기세포 분화 기술을 이용해 ... ...
[Editor’s Note] 역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인간만이 지니고 있다고 믿었던 여러 특권적 지위가 깡그리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우선
세상이 인간을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믿음이 깨졌다. 동물과는 다른 영적 존재라는 신념도 깨졌다. 땅에서 파올린 고인골 화석은 인류가 이성적 존재이기 이전에 두 발로 걷는 몸적 존재였다는 사실을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들이다. 이외에도 다수의 연구자들을 인터뷰해,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를 추렸다.
우선
젊은 연구자들은 이번 사태를 보면서 논문을 쓰는 방식을 뜯어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위원은 작년 11월 기자를 만난 자리에서 “리뷰 부분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총 4장으로 이뤄진 201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들었지? 내가 이 소식을 듣고 너무 흥분해서 이렇게 뛰쳐나왔다구! 중력파를 이해하려면
우선
중력에 대해 알아야 해. 흔히 중력이라고 하면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떠올릴 거야. 하지만 나는 ‘상대성이론’을 발표해서 뉴턴과 전혀 다른 방법으로 중력을 정의했지. 둘 중 누구의 말이 맞는지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입체 도형이기 때문입니다.그럼 ‘지오데식 돔’은 무엇일까요? 지오데식 돔을 만들려면
우선
지오데식 구를 만들어야 합니다. 먼저 정이십면체의 각 모서리를 n등분해서 각 면을 n2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눕니다. 이 입체도형을 부풀려서 모든 꼭짓점이 입체의 중심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다면체를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들이다. 이들이 구조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X선 결정법이다. X선 결정법은
우선
단백질을 차곡차곡 쌓아 결정을 만든 뒤 고에너지 X선을 쏜다. X선은 결정과 충돌하면서 흩어지고 우리는 이 흔적을 측정할 수 있다. 단백질 결정 뒤쪽의 평면에 산란된 모양을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 3차원으로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결과는 놀랍다. 파충류는 결코 아둔한 동물이 아니었다! 누가 내 달팽이를 옮겼을까?
우선
파충류가 숫자를 셀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9년 샌디에이고동물학회의 존 필립스 박사는 미국 샌디에이고동물원에 있는 바위왕도마뱀을 연구했다. 바위왕도마뱀은 몸길이가 2m나 되는 거대한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개체의 ‘이것’을 일편단심 증가시키려 한다는 일반 법칙을 우리가 내놓을 수 있을까.
우선
사회적 행동을 분류하고 넘어가자. 사회적 행동은 행동을 하는 당사자의 적합도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적합도에도 영향을 끼치는 행동으로 정의된다. 적합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해밀턴은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