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예측한대. 내가 알려줄게! ▲ UM으로는 태풍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앞으로 KIM이 이 역할을 톡톡히 하길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모형으로 기상을 예측하려면 아주 많은 계산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야 해. 10일 동안의 기상을 예측하려면 얼마나 계산해야 하는지, 같이 볼까? 정말 많은 ... ...
-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파커 솔라 프로브’는 태양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2018년 8월, 미국항공우주국이 발사한 인류 최초의 태양 탐사선이에요. 파커 솔라 프로 ... 2024년에는 616만km까지 최근접하지요. 이러한 관측은 태양의 비밀을 새롭게 밝혀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필요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세포, 신경세포 등이 다 있어야 진정한 오가노이드의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아직 오가노이드 기술이 여기까지 다다른 건 아닌 모양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오가노이드를 화학물질 스크리닝 같은 예비실험에만 활용한다고 합니다. 신약 개발 초기에는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많다. 한 가지 설은 플라스마를 검 모양으로 가두고 있는 모종의 장(field)이 벽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아이디어다. 플라스마가 나오지 못하게 막고 있으니 다른 광선검의 플라스마도 쳐낼 수 있다는 것이다. 플라스마의 열은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면 베거나 찌르는 데는 문제가 없다. 아직 공식적인 ... ...
-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하시는 나미연 선생님이 지도교사를 맡아 탐사의 방향을 잡도록 많이 도와주셨어요. 역할분담을 해 주셔서 각자 책이나 관련 문헌, 기관의 자료를 찾을 수 있었지요. 또 지사탐 대원으로 이촌한강공원 귀화식물 현장교육에 참여했는데, 그때 차두원 연구원님을 만나 생태계 교란 식물종에 대한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0년 쥐의 해인 경자년을 맞아 실험쥐가 인류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짚어봤습니다. EBS 펭수 vs. 리얼 펭귄, 전격 분석☞바로가기 (46p)요즘 대세인 EBS의 연습생 ‘펭수’를 진짜 펭귄과 과학적인 관점에서 비교해봤습니다. 펭수 키는 210cm라는데, 실제로 이렇게 큰 펭귄이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동성 부부는 새끼 펭귄을 입양해 먹이를 공급하고 둥지를 지키는 등 일반적인 부모의 역할을 했고, 8월에는 독일 베를린 동물원의 황제펭귄 수컷 동성 부부가 알을 입양해 돌본 사실이 미국 CNN의 보도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은 알을 부화하는 데는 실패했다. 의혹 5. 펭귄고 물범이 친구? 펭수는 열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경우 생명 유지나 뇌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 단백질을 완전히 없앤 녹아웃 쥐들의 경우 생존조차 어려워 연구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고 교수팀은 우선 쥐를 성체로 키운 뒤 필요한 유전자의 발현을 없애는 작업을 진행한다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지만, 남극과 그린란드 대륙에 있는 빙하가 바다로 들어가는 ‘빙상 유실’이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대륙 빙하가 바다로 이동하는 과정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재현한 ISSM(Ice Sheet System Model)을 사용해 예측하죠. 빙하는 고체이지만, 모형화를 위해서 점도가 매우 큰 유체라고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표현이 가능해졌고, 결과적으로 영상의 생동감이 높아졌다. 여기에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9년부터 2005년 사이에 개봉한 스타워즈 1~3편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약했는지 알아보자.1970~1980년대에 제작된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로봇은 주로 사람이 탈을 쓰고 연기했다. 수많은 로봇이 등장하는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