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다시 큰 단위로 일괄할 수 있다 잡종 형질의 분리, 유전자의 조환(組換)이 벤델의 유전
법칙
에 따라 표현되는 것을 기대하여 체계화시킨 육종법이다 따라서 유전자형의 표현이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형질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감광도(感光度)가 ISO 200 이상의 사진촬영용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날을 생각하며 색다른 중력 이야기에 귀기울여보자.뉴턴의 힘, 탈출해봐뉴턴의 만유인력
법칙
은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 사이에 서로 잡아당기는 중력이 작용하며 그 힘의 크기는 두 질량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질량의 곱에 비례한다는 내용이다. 태양이나 지구처럼 질량이 아주 큰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에서 질량보존의
법칙
이 성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좌표계에서는 질량보존의
법칙
이 성립하지 않는다. 또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두 지점에서 동시에 벌어지는 일은 인과관계가 없다.전송장치를 이용한 순간이동의 순간은 동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짧은 시간을 뜻한다. 스타트렉의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질점계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질점계의 각운동량은 시간적으로 불변이라는
법칙
골편(骨片)이 없고 해면질 섬유의 망목(網目)을 가진 해면동물 광의로는 규질골편(硅質骨片)이 해면질로 연결되는 것도 포함한다 넓은 의미로는 규각해면류(硅角海綿類)라고도 한다윌슨병과 이노세형(猪瀨型 ... ...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동전은 그대로 두고 튕겨 보내는 동전을 2개로 늘리면 어떻게 될까? 운동량 보존
법칙
에 따라 끝에 있는 100원짜리 동전 2개가 튕겨 나간다. 총을 쏠 때 어깨에 바짝 붙이지 않으면 총알이 발사될 때 총이 몸에 부딪치는 현상도 같은 원리다. 총알이 튀어나갈 때 작용하는 힘은 화약에서 나온다. 총알을 ... ...
소금은 분자일까? 아닐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있지만, M껍질을 다 채우기 전에 8개의 전자만으로도 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를 옥텟(octet)
법칙
이라고 한다. Cl이 전자 1개를 얻어서 Cl-가 돼 화학적으로 안정한 Ar과 닮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Cl은 전자 2개를 으면 도리어 불안해지기 때문에 보통 전자 1개만 원한다. 나트륨과 염소의 만남은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모친 살해 파라독스'라 한다어떤 현상의 원인은 그 결과보다 시간적으로 선행한다는
법칙
프랑스가 2천년 이후 공군 주력기로 사용하려고 개발했으며 한국 공군이 추진하는 차차세대 전투기 사업의 후보다 위상배열 레이더, 음성인식시스템, 헬멧장착 시현장치, 적외선탐지조준장치 등 다른 ... ...
쥐불놀이와 전자운동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전환기인 20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은 가속도, 작용-반작용의
법칙
등 친숙한 뉴턴 역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원자와 같은 아주 작은 세계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발표된 시기였다. 그 당시의 과학자들은 고전역학이라고 불리는 기존 방법을 이용해 어떻게든 실험 결과를 ... ...
'에너지 보존
법칙
'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아니라 물체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여서 특수상대론을 사용해야 할 때에도 성립하는
법칙
이다. 다만 이때는 질량도 에너지의 일종이므로 질량에너지까지 포함해 전체 에너지가 보존된다. 전자와 이의 반입자인 양전자가 만나면 서로 소멸돼 전자기파(감마선)가 나온다. 이는 ${e}^{-}+{e}^{+}→γ+γ ...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연구에 참여한 게라르도 노미스 박사는 “고흐가 그린 소용돌이 모양이 콜모고로프의
법칙
과 맞아 떨어진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라고 말했다.고흐가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웠던 때에 그린 그림에는 수학적으로 정확한 형태의 난류가 나타난다. 하지만 정신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그린 초기 작품에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