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않는 것이 바로 소멸간섭을 통해서다. 렌즈에 굴절율이 렌즈보다 작은 막을 적당한
두께
로 코팅하면 렌즈 뒷면으로 나아가 표면에서 반사되는 파와 막을 투과해 렌즈와 만나는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파가 정확하게 위상이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멸간섭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빛의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필자가 있는 남극 세종기지 부근의 바다는 매년 어는 것은 아니지만, 얼게 되면 평균
두께
60cm 정도로 언다. 설혹 얼지 않아도 겨울이 되면 바람 따라 밀려온 얼음조각들이 하얗게 기지 둘레의 바다를 덮는다.추위 피해 1천6백km 이동자연환경이 가혹한 남극에서도 겨울은 생물에게 더 가혹한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두개의 금속 전극 사이에 얇은 발광 고분자 막을 형성토록 한다. 이 발광 고분자막의
두께
는 보통 1백μm(1μm는 1만분의 1cm) 정도인 머리카락보다 약 1천분의 1만큼 얇다. 두개의 전극 중 하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투명한 전극을 사용한다. 이때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다른 전극을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그리고 유토(진흙을 기름으로 반죽)를 이용해 얼굴 근육을 보조틀 높이까지 붙여 얼굴
두께
를 만들었다. 눈, 코, 입의 모양은 한국인 자료를 참고로 제작했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진을 찍어 머리뼈 사진과 비교했다. 보정작업이 끝난 얼굴상은 최종적으로 청동으로 작업해 흉상으로 제작했다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후 곧바로 많은 사람들의 환영을 받았다.인공 파도타기의 생명력은 전체적으로 고른
두께
를 가진 거센 물살에 있다. 한시간 동안 인공 파도타기 시설로 쏜살같이 흘러드는 물의 양은 2천3백여t. 물이 흐르는 속도가 초속 21m다. 바람의 경우 초속 17m 이상이면 태풍으로 분류된다는 것과 비교하면 인공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퇴적층의
두께
가 가늘어진다. 수월봉의 경우에는 한라산쪽으로
두께
가 가늘어진다(그림1). 이제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수월봉과 차귀도는 같은 화산폭발로 형성됐다. 그리고 화구는 수월봉과 차귀도 사이의 바다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구는 보이지 않는다.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있는 구조여야 한다. 최근에는 이런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미세가공기술(MEMS)을 이용해
두께
가 매우 얇은 박막 형태를 개발하고 있다.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열형 적외선센서는 초전 효과(pyroelectric effect)를 이용한 초전형 적외선센서다. 초전 효과란 전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극성을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2백km 고도를 도는 유로파 궤도선은 레이더를 사용해 유로파의 얼음표면을 연구하고
두께
를 측정하며, 얼음 아래에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하는지를 살핀다. 여러 가지 상황이 유리하게 전개된다면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유로파의 얼음을 뚫고 들어가 수중세계를 탐험할 ‘원격조정 잠수우주선’도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은 둘이나 셋으로 갈라져 마치 머리를 땋아 놓은 모양을 한 것도 있다. 사실 고리의
두께
는 20여m에 지나지 않는다. 고리 사이 틈새는 위성의 중력에 의해 생긴 것으로 텅 비어있지 않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없다. 만약 거미줄로 옷감을 짜면 같은
두께
의 강철보다 10배는 강하다. 철사줄 정도의
두께
로만 뽑아낸다면 피아노도 천장에 너끈히 매달 수 있을 정도다. 강도뿐만 아니라 유연성도 대단하다. 여간해서 끊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한 예로 한가닥의 거미줄을 수십km까지 늘리는데 성공했다는 연구도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