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밤 9시 20분 경.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프르의 다타란 메르데카 광장 한쪽에 마련된
대형
스크린 앞에 수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말레이시아 최초 우주인인 셰이크 무스자파가 탄 소유즈 우주선이 발사되는 장면을 보기 위해 모인 시민들이다.러시아의 소유즈는 미국의 우주왕복선과는 달리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거의 모든 조직에 분포한다 이(異)물질이나 체내의 노폐(老廢)세포 등을 포식하는
대형
아메바상(狀)의 세포를 말한다 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가수분해 효소가 축적된 리소솜이 많고, 이물질을 포식함으로써 생긴 파고솜과 융합하여 효소를 방출한다피드백이 제어의 중심 원리로 된 시스팀 원래는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표준화, 잘못된 프로그램의 자동체크, 기밀보호방식의 개발 등이다 소프트웨어가
대형
화 복잡화됨에 따라 최근에 정착한 학문이다지난 85년 프랑스가 적도상공 8백30km 고도에 띄워올린 관측위성(SPOT, Système Probatoire d'Observation de la Terre의 약자) 두 대의 멀티 스펙타클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어 1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술이 대표적인 예다. 또 바닥에 쏜 영상을 발로 밟으면 그에 따라 내용이 바뀌는
대형
쇼핑몰의 광고 영상에도 증강현실기술이 적용됐다.최근 이 같은 기술이 각광을 받는 이유는 증강현실이 앞으로 다가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과 ‘궁합’이 잘 맞기 때문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컴퓨터 ... ...
부리와 깃털 가진 '초
대형
' 공룡?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추측할 수 있다. 혼돈 속에 빠진 공룡학자새와 비슷한 부리와 깃털을 가진 ‘초
대형
’ 공룡이 중생대 백악기에 존재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깃털달린 공룡들은 체구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예상하지 못했던 기간토랩터의 발견은 공룡을 연구하는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갖고 있으면서 넓은 영역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는 ‘자’를 개발하는 일이 2000년대 초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의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빛의 간섭현상 이용해 LCD 박막 두께 측정‘10억분의 1 불확도 정밀공학’(BUPE)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김승우 단장은 나노미터 수준까지 정밀하게 길이를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5월 25일헬리콥터를 발명한 이고르 시코르스키 출생미국의 항공기 제작기술자. 평생 동안
대형
항공기와 헬리콥터 개발에 주력했다. 1931년 헬리콥터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면서 헬리콥터가 지금처럼 실용적인 교통기관이 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미래속으로사이버 부대만 있으면 백전백승“서울로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수명도 15~20년까지 길어지고 있다.흥미롭게도 통신방송위성이 아닌 아리랑위성도 점점
대형
화되고 있다. 1호는 무게가 470kg이기 때문에 소형위성에 속했다. 하지만 2호(776kg)부터는 소형위성의 범위를 벗어난다. 3호는 1톤으로, 5호는 1.4톤으로 각각 개발되고 있다.이 단장은 “위성은 대량생산을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어렵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무게를 견딜 수 있으면서 줄이는 게 관건”이라고 말한다.
대형
매장에서 생수병을 서너 단으로 쌓아놓는데 이 무게를 못 견디고 병이 찌그러지면 낭패이기 때문. 따라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외부로부터 받는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페트병 구조를 탐색하고 있다 ... ...
인공위성 초미니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위성을 수리하는 똑똑한 소형위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 주먹만한 초소형위성이
대형
위성의 자리를 위협할 날도 머지않아 보인다.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발사 50주년을 맞아 진정한 스푸트니크 후예들을 만나보자. 세계 소형위성 시장에서 위성 선진국을 놀라게 하는 한국발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