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북쪽에서는 시속 6백40km에 폭이 4천3백45km인 지구상의 제트기류 같은 기류대, 그리고
남쪽
에서는 1만3천~6만6천km의 거대한 흑띠의 대폭풍권도 발견됐다. 이들 기류를 움직이는 에너지원이 분명히 해왕성 내부에 있으리라고 짐작된다. 보이저는 또 북극의 오로라와 흰색으로 나타난 대기의 이동 등을 ... ...
늘씬한 3W의 나라 칠레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긴 나라, 그리고 그들이 자랑하는 술과 날씨와 여자의 나라는 북쪽의 타는 듯한 사막,
남쪽
의 얼음빙하와 안데스산맥 그리고 긴 태평양의 해변을 차지하면서 새로이 출범하는 민선정부와 함께 도약을 꿈꾸고 있다.16년간의 피노체트정권이 완성해 놓은 경제적 안정을 바탕으로 남미 최고의 나라를 ... ...
기상이변,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죽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84년의 한발은 20세기 최악의 재난이었다.사하라사막
남쪽
변두리지역에서는 1910~1920년, 1940년 경에도 한발이 있었으나 최근의 한발은 이것들과 비교해 볼 때 지속기간이 길고 또 극심하다는 것이 특징이다.아프리카의 한발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 ...
태평양 바다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이 조사의 주요 목적이었다.조사방법은 조사지역의 북쪽에서
남쪽
으로 이동하면서 약 60㎞ 간격으로 망간단괴를 채취하는 것으로 다양한 시료채취를 사용했다. 박스코어라는 20×30×60㎝의 상자로 1천m 이상의 해저면에 분포하는 망간단괴와 퇴적물을 자연상태 그대로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991mb로 서울보다 훨씬 낮았고 기압 변화가 심한 날은 15mb 이상씩 차이가 나기도 했다.기지
남쪽
해안에는 쥐투와 췬스트랩이라는 펭귄 두 종류가 살고있으며 자이언트페트렐 바다제비 갈매기 등도 서식한다. 남극에서 꽃피는 식물 2종 가운데 하나인 남극잔디도 발견됐다.7월초에는 기지앞바다에 ... ...
지구가 너무 덥고 추웠을 때 When The Earth Was Too Hot and Too Cold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어떤 땅도 바다에서 이만큼 떨어져 있지 않다.판게아의 중앙지대가 충분히 북쪽이나
남쪽
에 자리 잡았다면 한 겨울에는 오늘날 지상의 어떤 곳보다 추웠을 것이고 한 여름에는 오늘날의 어떤 곳보다 더웠을 것이다.'응용연구회사'에 관련돼 있으며 '토마스크로울리'씨에 의해 대표되는 일단의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었다. 이 일대에는 옛날의 벽돌과 깨어진 가왓장이 많이 흩어져 있다.외성의
남쪽
에는 발해의 불교문화 수준을 짐작케하는 절터가 있다. 이 절은 정조 때에 중건하여 흥륭사라 불렀으며 발해왕국 때의 것으로는 석등이 하나 온전하게 남아 있을 뿐이다.외성과 내성 궁전 등의 배치도를 간략하게 ... ...
대 해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섬까지 내려간다. 해수면은 떨어지고 육교가 만들어져 북쪽에서는 아시아를 북미에 잇고
남쪽
에서는 오스트렐리아에 있는다. 그래서 인류는 원래 살던 고향에서 그런 곳들로 갈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그러다가 지구의 궤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되돌아 오면 여름이 약간 더워진다. 그러면 다음번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조류상을 정리한 조선조류지 3권.6. 25가 나자 고령이었던 그는 북한에 남고 아들만
남쪽
으로 내려왔다. 그중 한사람이 원병오박사(경희대 생물학과 교수·63). 아버지의 영향으로 자연스레 새와 친해졌던 그는 어려서부터 일생을 새와 더불어 살기로 결샘했다. 그래서 원산농업대학에 진학하였고,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명상적이고 한국적이다.삽사리가 언제 어떠한 경로를 통해 한반도로 들어왔으며 반도의
남쪽
지방에 서식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문헌적 자료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삽사리라는 고유의 이름과 우리의 언어 속에 널리 쓰이고 있는 삽사리 방(尨)이라는 한자 어휘만 보더라도 삽사리는 우리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