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지만 없는 것이 활성단층 지도만은 아닙니다. 전문적인 화산 연구기관이 없는 나라도 OECD 국가 중에서 우리뿐일 겁니다.” 손영관 경상대 지질학과 교수는 기관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실제로 국내 지질학자 중에서 정확히 ‘화산학(Volcanism)’을 전공한 학자는 거의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많았는데, 지금은 국제 규제가 생겨 까다로운 절차를 거처야 한다. 씨드볼트는 다른 나라의 야생식물 종자를 보관해 주면서 합법적으로 연구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씨드볼트는 야생식물에 대한 기초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야생식물은 식량작물에 비해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체농장도 좋고, 뼈대 컬렉션도 좋다. 대한민국의 법의인류학자로서 우리나라가 우리나라만의 데이터를 쌓아 나갈 수 있기를 고대해본다. *편집자 주: 그동안 연재기사 ‘죽음, 그 후’를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재는 끝나지만 범죄 현장에서, 재난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30% 수준)를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현재 M&S 기술이 가장 앞서 있는 나라는 미국이지만,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제품 개발에 M&S 기술을지원하는 시스템은 한국이 세계적인 모범 사례다. 그 결과 2015년에는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인 국제데이터기업(IDC)이 ‘HPC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벌레가 살고 있다고 들었어요. 한국뿐 아니라 일본, 대만,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나라에 대벌레가 살고 있지요. 하지만 한국에 사는 대벌레는 다 자랐을 때 길이가 7~10cm 정도예요. 대벌레도 다른 동물들처럼 종류가 아주 많거든요. 참고로 제가 낳은 새끼들 중에 가장 작은 것이 26cm였어요. 후훗! ... ...
- [수학 뉴스] 중독성 강한 노래가 히트한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노래로 꼽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연구팀은 영국인이 뽑은 중독성 강한 노래가 다른 나라 사람에게도 중독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173개국 사람들이 약 8만 개의 의견을 달았는데, 영국인의 생각과 같았습니다. 켈리 자쿠보스키 더럼대 음악학과 연구원는 “이번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저는 ‘대립주방(Conflict Kitchen)’이란 음식점에 눈길이 가더군요. 미국과 대립하는 나라의 음식을 배워 와서 판매하는 식당인데, 2014년 초에는 북한 음식이라고 해서 냉면, 파전, 동치미를 팔기도 했습니다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볼로냐는 서로 다른 나라(각각 베네치아 공화국과 교황령)에 속한 도시였다. 여성이 다른 나라까지 건너가 대학에 입학한다는 건 매우 예외적인 일이었다. 그는 볼로냐대의 첫 외국인 학생이자 남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들은 첫 여성이었다.로카티는 18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자신의 의지로 싸우지 않을 것을 선택하고돌아갔다. 세계사에 다시없는 풍경이었다.나라에서는 단어를 골랐다. ‘괴담’, ‘허위선동’, ‘근거 없는’. 수많은 문제를 광우병이 진실인가 거짓인가의 문제로 축소시켰다. 하지만 그래서는 안 되었다. 그렇게 간단히 한두 단어로 후려칠 일이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멸종위기종은 가까운 곳에 있다우리나라엔 몇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지 알고 있나요? 2015년 말까지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엔 4만 5295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 사라지고 있어~!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