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영재·글로벌 리더 ‘더’ 뽑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일정비율은
기초
수학능력 구술면접 대신 종합다면면접(기존 다면면접+수학교과 관련
기초
수학능력평가)을 받도록 합니다. 학생들이 우수성 입증 자료로 주로 무엇을 제출합니까? 과학고나 영재학교 학생들은 R&E 결과물 등 제출할 것이 많습니다. 반면 일반고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그런 것이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피하기 위해서다.위치를 선정하면 살아있는 나무의 가지를 반쯤만 부러뜨리고 엮어
기초
구조를 단단하게 만든다. 그 위에 잎이 무성한 잔가지를 얹어 푹신한 잠자리를 만든다. 완성된 둥지는 길이 1m에 폭 80cm 크기의 눕기 편한 타원형이다. 연구팀은 “어린 오랑우탄이 어른 오랑우탄이 지은 집을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는 1, 2단계를 거쳐 올해 시험생산을 준비하는 3단계에 진입했다. 특히 생산을 위한
기초
기술을 연구하고 매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시간을 일본의 절반으로 단축한 것은 큰 성과다 ... ...
작지만 값진 성공의 경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전기화학을
기초
로 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는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광받고 있다. 이 분야의 선두주자인 서울대 ‘광 및 전기화학 에너지 연구실’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는 석사 졸업 후 찾아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인연을 맺었던 성영은 교수가 서울대에 새로 부임해 받은 ... ...
화학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어야 한다. 공학수학이나 디자인과 같은 공학적 소양이 있는 학생을 원한다. 또한
기초
학문 및 공학 전반에 대한 이해력과 논리성, 창의성 등이 필요하다. 화학 관련 실험·실습량이 많다. 따라서 꼼꼼함과 인내력, 판단력이 필요하다. 여러 사람과 공동으로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상호간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헤론의 수학은 이론을 넘어서 응용분야에 관심이 많았다. 수학적인 지식과 사고력을
기초
로 기계 발명에 혼신을 쏟아 시대를 앞선 여러 가지 기계 발명을 완성했다. 100가지가 넘는 헤론의 발명품은 그의 저서 ‘공기역학’에 잘 나타나 있다. 당시 사람들이 헤론을 ‘기계 인간’이란 뜻의 ... ...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리고 앞으로는 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학교 오케스트라를
기초
학력이 부족하다고 지적되는 학교에 먼저 만들 계획이에요.새 학기, 변화를 꿈꾼다면 이렇게 해 보자!① 성적이 부진해 도움이 필요하다면? 지역 교육청에 있는 학습부진 종합클리닉센터를 방문해 보자.②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뤘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수학자들의 연구’다.1893년 인도의 수학자 순다라 로는
기초
단계의 오리가미만을 활용해 도형의 성질을 증명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순다라는 도형의 성질을 증명하는 문제에서 증명 방법이 떠오르지 않자, 증명에 도움이 될 만한 새로운 도구를 찾고 있었다. 그러던 중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양자광학연구부 임창환 책임연구원은 국립점화설비연구소를 권투선수에 비유하여 “
기초
체력은 이제 탄탄히 다졌지만 아직 스파링이 남았다”고 설명했다.국립점화설비연구소는 1.8MJ이 넘는 에너지를 쏟아내기 위해 레이저 빔 192개를 이용했다. 사방팔방에서 발사되는 192개의 레이저는 지름이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논문으로 자신의 연구를 마무리 짓는다. 논리 정연한 글 실력은 좋은 논문을 만드는
기초
가 된다.“글쓰기나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대학에서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어렸을 때부터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자연계 학생들도 글쓰기, 책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성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