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공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고성능 머신러닝 추론 시스템 ‘PRETZEL’도 개발했다. PRETZEL은 기존 방식 대비 응답시간이 5.5배 빠르고, 메모리 사용량은 25배 적으며, 처리량은 4.7배 많다. 이 연구는 지난해 10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에서 열린 시스템 분야 최고 국제학회 ‘OSDI’에서 발표됐다.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는 기회를 나눌 수 있어 기쁩니다. 반가워요! Q 폴리매스 문제는 어떻게 만드나요? 기존에 있는 문제를 변형하거나, 다른 문제를 풀다 나온 아이디어로 만들어요. 문제를 만들 때 가장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건 참신하면서도 난이도가 적당해서 여러 가지 생각을 해야 해결할 수 있게 만드는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공간에서 펼쳐지는 리만 기하학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학문이었지요. 리만 기하학, 기존 유클리드 기하학을 부정하는 기하학이라! 이는 본질적으로 뒤샹에게 다른 시각을 열어주는 기회로 작용했습니다. 뒤샹은 리만 기하학에서 나오는 4차원의 개념을 수학적인 의미가 아닌 현재 3차원 세계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결합하는 단백질인 징크 핑거와 탈렌을 연구했다. 이후 개발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기존 유전자가위와 달리 RNA 서열을 바꾸는 방식이어서 훨씬 간편하고, 비교적 정확하게 표적 유전자를 자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초로 유전자를 원하는 대로 자르거나 넣어 ‘편집’을 할 수 있게 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10.1002/adma.201800868 플렉서블(휘어지는) 태양전지 등 유연성 소자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기존 태양전지는 웨이퍼나 유리 등 단단한 기판에 제작되기 때문에 힘을 주면 파손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유연한 기판을 사용하더라도 무기물이 손상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연구팀은 ... ...
- [과학뉴스] 먹기만 해도 살 빠지는 칩 탄생!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작동했으며, 쥐의 체중도 서서히 늘어났다. 왕 교수는 “딱딱하고 자주 충전해야 하는 기존 칩의 문제점을 유연하고 생체친화적인 발전기를 사용해 해결했다”며 “추후에 돼지를 대상으로 실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8년 12월 17일자에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2위다. 베장 연구원은 “아직까지 친환경에너지로 100% 발전하기는 불가능하다”며 “기존 건물이나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쓸모없는 폐기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파리 시내의 일부 버스 노선은 100% 전기차로만 운행되고 있다. 재생친환경기술을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교수는 배의 건강과 영양 특성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었다. 기존의 논문들을 검토하던 중 그는 한국의 배가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과음한 다음 날 나타나는 숙취 현상은 몸 안에 들어온 알코올이 간에서 알코올분해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기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분화 등에서 한계가 있었고, 세포독성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배양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보다 2배 이상 효율적으로 신경세포 분화를 유도했다. 조 교수는 “이 시스템으로 배양한 신경세포를 허혈성 뇌졸중에 걸린 쥐에 이식해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며 “앞으로 뇌 조직뿐만 아니라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벨트에 있는 천체들은 태양계 생성 초기 모습과 그 이후 변화의 흔적이 잘 남아있어서 기존 계획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처음에는 카이퍼 벨트 내 천체 중 5개가 탐사 후보로 올랐다. 그중 2014년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발견된 울티마 툴레가 뉴호라이즌스호에 남아 있는 연료와 궤적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