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업"(으)로 총 3,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팀과 함께 올 8월까지 하이퍼루프 시스템을 건설할 계획이에요. 이외에도 미국의 기업 *HTT와 *HT도 하이퍼루프를 개발하고 있어요. HTT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캘리포니아주에 8km의 튜브를 건설하고 있지요. HT도 올해부터 네바다주에 3km의 튜브를 만들기 시작했답니다. *HTT : Hyperloop Transportation . ...
- [과학뉴스] 태양광 무인기, 성층권 나는 데 성공!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무인기를 성층권에 올려 보내 90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기업과 러시아, 중국 과학자들도 태양광 무인기를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 성층권까지 진입하지는 못했다. 성층권에서 오래 날 수 있는 태양광 무인기는 실시간으로 지상을 정밀하게 관측하거나 기상을 관측하는 등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자기공명영상(MRI)기술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생리·의학상(2003년)을 탔다.공립, 사립, 기업체 소속이라는 차이는 있지만 이들 모두 연구비를 지원해 주는 연구소 소속이었다. 그렇다고 이 연구소들이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3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영국 의학연구위원회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중소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KISTI에서 기술기회발굴(TOD) 시스템을 개발해 중소기업이 활용하게끔 운영하는데, 이 교수가 3년째 참여하고 있다.또 수학, 사회학 같은 다른 학문과의 교류도 빅데이터 연구센터를 통해 이뤄진다. 이 교수는 “경영공학은 어떤 분야와 결합하느냐에 따라 연구 성격이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흥부의 배부름을 보장할 수 없듯이 말이다. GMO와 관련한 논쟁은 사회, 국제 관계, 다국적기업의 역할 등 다양한 요인과 복잡하게 얽혀 있기도 하다.하지만 이번 노벨상 수상자들의 행동에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있어, 먼저 정확한 과학적 근거를 알릴 필요가 있다”는 과학자들의 깊은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감축에 대한 심각성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황윤정 선임연구원 역시 “기업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받아들이는지는 정부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국가적으로 이산화탄소 전환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인공광합성 상용화도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유출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보다는 오히려 암호를 관리하는 사람이나 기업의 부주의, 관리 실패로 유출되는 경우가 더 많다. 사실 암호 자체는 만들기 어렵지 않다. 내 수업을 잠깐 들은 아마추어도, 미국국가안보국(NSA)이 나서야만 풀 수 있는 어려운 암호를 거뜬히 만들 수 있다. 하지만 ... ...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 인류 전체의 혁신을 다룬 5층 ‘발명의 시대 전시관’의 전기 발견 체험과, 3층 ‘기업 혁신의 시대 전시관’에서 삼성전자의 디스플레이를 내 맘대로 조절해볼 수 있는 체험이 특히 인상 깊었다. 전자산업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도 인상 깊었다. 말로만 듣던 성경책만큼 두꺼운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다 장단점이 있는데요. 연구의 자유로움은 학교(교수), 출연연, 기업 순이지만, 연봉은 그 반대 순서거든요. 물론 대략적인 경향입니다.오경훈 연구자로서 필요한 능력은 어떤 게 있을까요.이관중 대학까지는 교육과 연구라는 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똑똑한 사람이 무조건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하지만 최근 기술의 진보도 눈부시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전문기업 ‘천랩’을 이끌고 있는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현재의 기술적인 한계가 결론을 뒤집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분석 비용이 점점 내려가면서 분석할 수 있는 미생물 수가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