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물건 집어 쓱~ 나오는 편의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모두 고려해, 고객이 물건을 들고 밖으로 나갔다고 판단하면 물건값을 결제해요. 아직은 기술이 발전하는 중이라서 고객이 물건을 지나치게 많이 들었다 놨다 하면 오류가 종종 발생해요. 하지만 앞으로는 더 정확하고 빠르게 계산하는 무인 편의점이 많이 생겨날 것으로 기대돼요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누군가 목판을 쉽게 따라 만들면 돈을 마구 찍어낼 수 있으니, 위조하기 어렵게 첨단 기술을 도입하며 진화했어요. 100년 전 지폐와 지금이 많이 다른 것처럼, 암호화폐도 아직 완성된 모습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계속 문제점들을 보완해야겠죠. 어린이 친구들도 아마 뉴스를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 ...
- [특집] 암호화폐 은행을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다고 보고, 사용자가 같이 발행, 관리하는 화폐를 만들었죠. 여기엔 ‘블록체인’이란 기술이 적용됐어요. ‘블록’은 디지털 거래 장부예요. 사람들이 주고받은 거래 내용이 적혀 있지요. 블록은 10분마다 만들어지며, 블록들은 서로 체인으로 연결돼 ‘블록체인’이란 이름이 붙었죠 ... ...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산업이 활성화됐지요. 우리나라도 최근 뉴스페이스의 흐름에 맞춰 민간 기업이 우주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이성희 대표는 “컨텍은 우리나라의 우주 산업을 이끄는 스타트업으로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어과동 우주 만화를 시작으로 어린이 우주 캠프나 우주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개발해온 열분해 오일화 기술은 대부분 소규모로 진행된 데다 기술 수준도 매우 낮은 편이었다”며 “이번 개발로 그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박재진3번의 시도 끝에 만든 다빈치의 다리에 어과동 책 9권을 올렸어요!만들고 나니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점차 대중화되고, 개인의 권력이 극대화되는 세상이 올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술로 우리 모두가 주체가 되고, 많은 사람이 협력과 합의로 사회를 이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산소가 공급된 것이죠.연구팀이 포유동물의 장호흡을 연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장호흡 기술이 발전하면 폐호흡이 힘든 환자들을 구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논문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인공심폐 장치가 부족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새 호흡법이 환자의 목숨을 구할 수도 있을 것”이라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4차례 발사체를 쏘아 올려 실제 위성을 저궤도에 안착시키고, 이후에는 민간기업에 기술이전해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6년간 총 6873억 8000만 원이 투입됩니다. 항우연은 2022년 말부터 1.5t 위성을 탑재해 본격적인 위성 발사 임무를 시작할 계획입니다.다음 누리호가 솟아오르기까지 이제 6개월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STScI 위원회는 적외선을 관찰할 수 있는 훨씬 더 큰 망원경을 설계하자고 제안했고, NASA는 기술과 예산 확보에 돌입했다. 그렇게 HST의 후계자 우주망원경 개발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1. 발사 임박 ‘제임스웹’ │ “가장 오랜 우주 본다” 초기에 이 우주망원경에는 차세대 우주망원경(NGST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남북 과학기술 협력을 위해 지속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과학기술자들이 모여 통일과학기술연구협의회를 구성해 조사·연구를 하고 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북한 환경과 토양에 맞는 벼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백두산국제과학기지를 설립해 백두산의 화산 활동을 연구하거나, 기후변화를 남북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