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련기간
수업 시간
수업시간
d라이브러리
"
공부시간
"(으)로 총 1,6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
지난 5월 3일,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을 규정한‘우주개발진흥법’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나라도 로켓을 쏘아올리고 우주인을 양성하고, 나아가 우주여행을 할 수 있는 우주생활의 첫 단추를 끼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11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65) 고문은 ‘못 말리는’ 수학 예찬론자다. 올해 4월 소장직을 물러남으로써 27년의 연구소 ‘현역 활동’을 마쳤지만 아직까지 박사급 연구원들에게 틈만 나면 ‘수학공부 더 하라’고 잔소리를 한다.“원자력이란 과학 분야를 탐구하려면 수학이 필수입니다. 원자의 핵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11
1830년대 말 양조업을 하던 줄은 경비를 줄이고 과학적인 호기심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동력원의 효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열이 발생하거나 없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하는 칼로릭 이론이 틀리며 열기관에서는 실제로 열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게 됐다.칼로릭 이론에 의구 ... ...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11
"와, 선생님 오셨다.” 전라남도 광주에서 멀지 않은 작은 시골 마을, 책상도 없는 사랑방에서 초롱초롱한 두 눈을 크게 뜨고 마음 졸이며 기다리고 있던 아이들과 머쓱하게 앉아있던 농촌의 아저씨들이 서울에서 온 선생님을 큰 소리로 반겼다. 벌써 30년도 훨씬 전의 일이다. 보릿고개를 넘겨야 했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11
식량농업기구(FAO)는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를 따라 조류독감이 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아시아와 유럽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가 서로 겹치면서 아시아에서만 6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H5N1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다. 대수학에서 사용하는 이론의 하나 갈루아는 대수방정식의 근(根) 사이의 치환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11
연구실에 들어서자 그 흔한 실험 기기 하나 보이지 않는다. 책상마다 놓인 것은 컴퓨터와 책들 뿐. 주위를 둘러보려고 하자 연구원들이 “사진은 이쪽에서만 찍어주세요”라며 기자를 이끈다. 무슨 연구를 하고 있는 걸까. KAIST 시스템모델링시뮬레이션연구실 김탁곤 교수가 “우리 연구실은 군사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평소에는 잘 모르고 지내다가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불끈 하고 힘이 솟아나는 것을 느껴 본 적이 있나요? 일종의 초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모든 사람에게는 초능력 같은 힘이 존재합니다. 이번 호 스타과학자 역시 그런 초능력을 발휘하시는 분입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초분자 물질을 연구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10
사소한 일로 다퉜던 친구나 어려운 부탁만 잔뜩 안겨주고 밥 한번 사지 않았던 선배와 떡하니 다시 만나게 됐다면? 우린 입버릇처럼 중얼거릴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 돼”라고. 그러고 보면 세상만사 다 얽혀있다는 어른들 말씀이 틀리지 않다.몸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도 마찬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9
단백질과 질병의 관계를 연구해 여성과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부르는‘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받은 과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유명희 단장님이세요. 단장님은 단백질의 모임인 프로테옴을 연구하는 프로테오믹스 사업단을 이끌고 있답니다. 그런데 프로테옴이란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09
“뇌는 우리 몸을 멋대로 조종하고 있습니다.” 젓가락질을 멈추고 뇌 ‘음모론’을 꺼낸다. “맛있는 음식은 왜 계속 먹게 되죠? 손이 움직이니까? 혀가 원하기 때문에?” 잠깐 뜸을 들이며 반찬을 집었다. “뇌 자신의 쾌락을 위해서죠. 아닌가요?”생쥐를 사랑한 뇌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