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학입시 과학문제 철저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비슷하기 때문에 수소와 탄소원자로 이루어
진
벤젠 쪽이 산소까지 포함되어 이루어
진
에테르보다 더 결합력이 약한 것 같기 때문이다.이 문제는 에테르가 마취제로 쓰이며 휘발성이 강한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면 풀 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학생들에게 익숙한 생활경험상 벤젠도 휘발성이 ... ...
중국 전통침술의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도 활발히
진
행되고 있다. 주교수의 동료인 하오
진
카이에 의해 이 경선의 침자극이 폐기종 천식 파킨슨씨병에 어떤 효과를 보여주는가가 면밀히 관찰되고 있다. 그 결과는 자못 궁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버트, 월러 등에 의해 발굴된 후 모헨조다로 도시유적과 함께 하루 아침에 유명해
진
인더스문명의 중심지다.인더스문명은 모헨조다로 하라파 두 도시외에도 찬후다로 등 1백여개의 도시유적을 인더스강 유역을 중심으로 남기고 있다. 그 당시 인더스강 상류인 펀잡지방의 수도는 하라파였고,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있다.우리나라에서도 전자파 관련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명실 공히 선
진
국 대열에 들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 적절한 기준이 확립돼야 하고, 이에 앞서 관련 기술이 확립될 수 있도록 산업체 연구소 학교 그리고 관련 정부 기관에서 많은 노력을해야겠다 ... ...
PARTⅢ 아피안에서 첨단도로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관리·운영하기도 한다.체계적인 도로정보체계(Network Information System)는 미국 영국 등 선
진
외국에서는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체계가 완성되면 도로의 모든 정보를 현지에 가보지 않고서도 컴퓨터를 통해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계획 및 설계의 과학화에 크게 기여할 수 ... ...
새로운 자동계산기를 써보자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있는 셀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각 셀은 그것이 속한 열의 알파벳과 행의 숫자로 이름지어
진
다. 열은 A-Z, AA-IV까지 2백56개가 있고, 행은 8천1백92개가 있어 이론적으로는 2백만개가 넘는 셀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셀들 모두를 사용하기 전에 컴퓨터의 메모리가 부족하게 된다.셀들은 왜 존재하는가? ... ...
무공해 대체 에너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기술과 반도체 기술이 발전해 광전(光電)변환효율의 개선 등이 이루어
진
다면 경제성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열발전에 관한 내용은 '과학동아' 89년 9월호에 자세히 소개돼 있다.태양열발전과 함께 4대 무공해 대체에너지 발전이 다음에 소개될 풍력 조력 지열발전이다. 이들은 아직 ... ...
청동기와 거푸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청동기의 주조는 13세기 초에 고려에서 청동활자를 부어 만들었다는 사실에서 명백해
진
다. 그에 관한 기술상의 기록이 15세기의 조선학자 성현(成見)의 '용재총화'(慵齋叢話)에 적혀 있다. 그의 설명은 모래 거푸집에 대한 가장 오래되고 정확한 기사로 주목된다.중국에서는 기술서인 '천공개물'에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 실험의 목적은 비누물 풍선이 무한히 커질 수 있는 연속적인 존재인지 어느정도 커
진
후 더 이상은 커지지 못하는 입자적인 존재인지를 알아보려는 데 있습니다. 먼저 연속적인 견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견해로는 계속해서 얇은 막을 얻을 수 있다, 비누막을 무한히 크게 만들 수 있다, 비누막 ... ...
연구실에서 기술정보를 찾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작업장 내에서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은 과거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커다란 과학기술의
진
보이다. 더욱이 도서관전산망은 기술문헌 정보의 부족을 타개하고 국내 연구개발을 활성화시키는 데 매우 좋은 지원시스템이 될 것이다. 이미 정보의 국제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국내 과학기술도 점차 ... ...
이전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10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