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뉴스
"
가능성
"(으)로 총 1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연구팀이 개발한 신경 자극 기술을 표현한 학술지 '스몰'의 10월 15일자 표지. - Small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을 이용해 신경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간질이나 파킨슨병 같은 뇌신경계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전상범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이 교수는 “스타틴이 누난증후군과 관련된 학습장애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
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미래형 원자로에 쓸 핵연료 피복,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4.11.05
PGSFR 고성능 핵연료 피복관 FC92의 모습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사용후핵연료(핵폐기물) 문제의 해결사로 주목받고 있는 4세대 원자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핵연료 피복관’을 ... 출원했다. 포스코특수강 등 국내기업과 기술 협력을 실시해 국제 시장으로의 수출
가능성
도 열렸다.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4.10.31
이루지만 남성은 X, Y 염색체가 1개씩 쌍을 이룬다. 최근 남성을 만드는 Y 염색체가 사라질
가능성
이 있다는 주장이 나와 화제다. 인간의 X 염색체(왼쪽)와 Y 염색체(오른쪽)의 실제 모습. Y 염색체의 염기서열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염기서열의 1.9%에 불과하며, 최근에는 Y 염색체가 없어질 ... ...
반도체로 쓸 수 있는 그래핀 나노리본 세계 최초 개발
2014.10.30
통해 그래핀의 단점인 전류제어 문제를 해결해 그래핀이 반도체 소자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
을 높였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번에 제작한 나노리본의 사이즈가 매우 작은 만큼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나노리본의 테두리 모양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 ...
“칼에 찔려 하반신 마비, 수술후 다시 걸어”…혁신적 치료법은?
동아일보
l
2014.10.21
환자를 치료하고자 한다. 타바코프 박사는 "칼로 척수가 완전히 절단된 환자가 치료받을
가능성
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세포 이식'에 실렸으며, 영국 BBC는 이날 피디카 씨의 재활 과정을 담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최현정기자 phoeb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그러나 일주리듬 교란과 멜라토닌 합성 억제 등 인류의 건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이 더 크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런데 스몰렌스키 교수는 서평에서 LED의 등장으로 세계 보건에 ‘적색등’이 켜졌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조명이 널리 퍼지면 안 그래도 심각한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크릭 연구소는 2005년 국립의학연구소를 런던 도심으로 이전하는 논의가 진행되면서 설립
가능성
이 처음 제기됐다. 이후 국립의학연구소와 임페리얼칼리지, 킹스칼리지 등 6개 기관이 7억 파운드(약 1조7000억 원)를 공동 출자해 대규모 프로젝트로 발전시켰다. 스미스 소장은 2009년부터 크릭 연구소 ... ...
12월부터 에볼라 감염자 1주일에 1만 명씩 는다
2014.10.15
정 교수는 “혈청에는 항체 외에도 백혈구 등 면역물질이 다량 들어있어 효과를 볼
가능성
이 높다”면서도 “환자 스스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외부 물질로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시간이 가면 효과가 줄어드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피를 수혈하다 완전히 무력화되지 ... ...
청바지 염료가 이차전지 물질로 변신
2014.10.15
청바지 염료로 쓰였던 프러시안 블루 물질은 정육면체 구조로 이뤄졌는데 이 안에 나트륨 이온을 저장할 수 있어 나트륨 이차전지용 양극물질로 활용할 수 있다. - 미국 스탠포드대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미국 연구진이 청바지 염료에서 이차전지 물질을 개발했다. 이현욱 미국 스탠퍼 ... ...
이전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