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뉴스
"
투명
"(으)로 총 1,57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신소재 ‘그래핀’ 활용…
투명
디스플레이에 한발 더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새로운 가공법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연이어 개발됐다. 태양전지와 휘어지는 배터리,
투명
디스플레이 등 미래 전자기기에 응용될 가능성이 커졌다. 권성주 서울대 재료공학부 연구원과 한태희 박사, 이태우 교수팀은 그래핀에 고분자 물질을 섞어 전기가 흐르는 성질(전기 전도도)을 높이고, 이를 ... ...
[구글 I/O 2018] ② 머신러닝과 웰빙 챙긴 안드로이드P
2018.05.10
위로 밀면 앱 서랍이 나온다. 양 옆으로 밀면 다른 앱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이 버튼은
투명
하게 처리되어서 되도록이면 원래 화면을 가리지 않는다. 버튼 영역이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고 서서히 그 자리를 없애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 아래 버튼 독에는 몇 가지 기능들이 더해지는데 기기를 옆으로 ... ...
카펫 위에서 사라지는,
투명
개
팝뉴스
l
2018.05.07
팝뉴스 제공 카펫 위에만 올라가면 개가 사라진다고 한다. 무슨 말일까 싶지만 인증 사진을 보면 금방 이해가 된다. 화제의 사진 속 강아지는 털이 카펫의 털과 흡사하다. 모양도 색깔도 닮았다. 그래서 카펫 위에 올라가면 잠깐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사진은 미국의 사진 공유 사이트 ... ...
“빚 내서 등록금 내고 교수 ‘갑질’에 치이고”…서글픈 대학원생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교수 개인물품 구입에 사용된다”고 답변했다. 미래의 고민거리를 묻는 질문에서는 불
투명
한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24.4%(566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양질의 일자리(고용안정성 및 급여) 부족도 17.3%(402명)로 뒤를 이었다. 이 같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 ...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연구 재개 결정…계속되는 ‘반쪽짜리 공론화’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있었다. 반대 측 패널에겐 검증 자료를 확보할 시간이 부족했다”며 “검증 과정도
투명
하게 공개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찬성 측 패널의 송기찬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연료주기기술연구소장은 “반대 측이 제기한 의혹은 사실 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이창선 과기정통부 ... ...
전력 없어도 작동하는 수소 감지 센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30
펼쳐진다. 펼쳐진 박막은 마치 문처럼 유리를 덮어, 원래
투명
하던 박막이 50% 정도 불
투명
해진다. 수소 누출 여부를 맨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은 수 초 안에 완료돼 위험 탐지 속도도 빨랐다. 연구 책임자인 이태윤 교수는 "단순한 수소 누출 경보 센서부터 정밀 수소 ... ...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정보를 처리하는 인공두뇌, 전기저항이 작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마음대로 휠 수 있는
투명
전극 등 다양한 분야에 나노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유지범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회장은 “나노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면서 “나노 기술이 미래 첨단제품을 ... ...
[짬짜면 과학 교실] 빛이 닿아야만 나타나는 풍경
2018.04.28
돌이나 구리를 매끄럽게 갈아서 거울을 만들었어요. 그러다가 수백 년 전부터는
투명
한 유리판을 이용한 거울을 만들어 사용했어요. 오늘날에는 유리 뒷면에 아말감이라는 금속을 녹여 발라서 만든 값싼 거울을 흔하게 사용하고 있어요. 거울이 잘 반사하는 이유는 표면이 거칠지 않고 반질반질하기 ... ...
차세대 반도체의 비밀 ‘공중부양’ 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0.65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인 매우 얆은 반도체다. 두께가 원자 1개정도로 얇아
투명
하고,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유연하다. 실리콘으로 만든 기촌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얇은 만큼 반도체가 놓인 기판 등 주변 물질로부터 신호나 물질 ... ...
[과학사진관] 낙엽 타는 밤마다 죽음이 향기로운 가을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발현된다는 것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으로 확인한 바 있다. 제브라피시의 배아는
투명
하다. 어미의 몸 밖에서 자라기 때문에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조작하면 살아 있는 동물에서 일어나는 질병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제브라피시만이 갖고 있는 실험동물로서 이점이다. 지금까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