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은배"(으)로 총 1,3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방 낮춘 초콜릿 제조비법: 그저 전기 자극만 주면 끝!2016.06.23
- 신나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여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노출의 계절인 만큼 살찔까 봐 초콜릿 하나도 마음 놓고 먹지 못하는 계절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 여름, 더위에 소진된 에너지를 보충하는데 달콤한 초콜릿만한 게 없는 것 또한 현실입니다. 이 순간, ‘먹을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문 ... ...
- “러시아에서 산불 나면 韓 초미세먼지 농도 높아져”2016.06.21
- 미국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위성 '모디스(MODIS)'로 2014년 7월 25일 촬영한 동아시아 지역 영상(왼쪽). 기류 분석을 통해 시베리아 산불의 한반도 유입 경로를 분석한 결과(오른쪽). 좌측 그림에서 붉은색 점이 산불이 발생한 지역이며 산불 발생 지점부터 한반도 상공까지 회색으로 된 띠 부분이 산불 ... ...
- [WWDC16 ②] 마침내 제옷을 입은 웨어러블 기기, 애플워치와 워치OS2016.06.15
- 애플은 숨이 가쁘게 발표를 이어갔다. 팀 쿡 CEO는 지난 일요일에 올란도에서 일어난 총기 테러에 대한 묵념을 제안한 직후 “오늘 아침은 무척이나 바쁘다”라고 운을 띄운 뒤 곧바로 본론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키노트가 시작한 지 불과 30분도 되기 전에 tvOS와 워치OS의 이야기를 정리했다. 최호 ... ...
- 어떤 여성이 나를 보고 웃었다. 날 좋아해서? ‘Yes or No’2016.06.12
- ▶고민 옆 부서에서 일하는 그녀는 만날 때마다 밝은 미소를 보여줍니다. 눈이 딱 벌어질 정도의 외모라고 하긴 어렵지만, 나름 귀여운 그녀가 하얀 이를 드러내고 웃어주면 마음이 두근거립니다. 사실 결혼식도 (상상 속에서) 몇 번이나 하였습니다. 이제 남자답게 대쉬만 하면 되는 것일까요? 게 ... ...
- 경쟁에서 협력으로, 우주 개발 패러다임 변화 현장에 가다2016.06.10
- 러시아 유일의 항공우주대학인 모스크바항공우주대 전경. - 모스크바=이현경 기자 uneasy75@donga.com 1957년 세계 최초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발사, 1959년 세계 최초 달 탐사선 ‘루나 1호’ 발사, 1961년 세계 최초 우주인 유리 가가린 배출, 1971년 세계 최초 우주정거장 ‘살류트 1호’ 발사…. 인 ... ...
-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 동물?과학동아 l2016.06.04
- 한정된 먹잇감 가운데 무엇을 주식으로 삼느냐는 야생에서의 생과 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이 선택에 따라 몸은 물론, 사회구조와 행동양식도 바뀐다. 야생의 생존게임에서 최종 승리한 원숭이들의 먹잇감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자. GIB, Cacophony(W), Olivier Lejade(W) 제공 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 ... ...
- 될 수 없다, 스파이더맨!수학동아 l2016.06.02
- 아무도 지나가지 않는 깜깜한 밤, 건물의 유리 외벽이 달빛에 반짝이고 있었다. 그 때! 후다다닥! 한 남자가 단숨에 18층까지 기어올랐다. 매끄러운 유리벽을 마치 마룻바닥 기어가듯이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빠르게 내달렸다. 그러더니 건물 저편으로 도망치던 악당을 향해 우유처럼 하얀 거미줄을 ... ...
- ‘치매 뇌 지도’ 2023년까지 완성한다2016.05.31
- pixabay 제공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차세대 먹거리의 기반이 될 뇌를 정복하기 위해 수조 원을 투자하는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정부 차원에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뇌의 구조와 기능을 정리한 ‘뇌 지도’를 만들고, 자폐증이나 뇌 발달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도 시 ... ...
- [화성 최대근접 현상] 화성인이 지구에 온다면 어떻게 올까? 2016.05.27
- 다가오는 5월 31일 화성이 지구와 최접근을 합니다. 이날 화성은 지구와 7500만km까지 가까이 다가오게 되는데요. 이러한 화성의 최접근 현상은 지난 2014년 4월 14일 이후 2년 2개월 만입니다. 화성은 화성인의 존재 가능성 때문에 인류의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만약 화성인이 실제로 있어서 ... ...
-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5.27
- 지난해 황반병성을 갖고 있던 영국인 80세 남성이 중심시력을 되찾는데 성공했다. - 유튜브 캡처 제공 1818년 영국의 소설가 메리 셸리는 인체 부위를 모아 생명체를 만드는 상상을 토대로 소설 ‘프랑켄슈타인’을 썼다. 이런 인류의 오랜 상상이 로봇공학과 생명공학의 발달로 현실이 되고 있다.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