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자
공동 작업자
뉴스
"
일의 동료
"(으)로 총 1,145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와이 ‘화성체험시설’에 고립 훈련중인 과학자 전격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15
먹고, 자고, 운동하며 연구 시간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부지런한
동료
들과 지내다 보면,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는 점도 좋아요. 하지만 바람과 ... 괜찮아요. 게다가 우리는 약간의 창의성을 발휘해 더욱 맛있는 식사를 만들고 있어요.
동료
과학자는 연구를 위해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교수의 실험실에서 초반 고전한다. 간단한 실험조차 번번이 실패하자 이를 딱하게 여긴
동료
가 차라리 의사로 돌아가라는 게 어떻겠냐고 말을 할 정도였다. DNA복구 과정의 하나인 ... 계속 할 수 있는 실험실 세 곳의 문을 두드렸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그런데 연인이었던
동료
대학원생 그웬돌린 ... ...
SK 와이번즈 울린 야구 명언 ‘히드랍더볼’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쉬는 것은 기본입니다. 이외에 사소한 행동들이 선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변
동료
의 격려, 코치의 사소한 몸짓 등입니다. 양 볼을 두드리거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행동이 선수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올해 야구를 열심히 보신 분들이라면 문득 생각나는 장면이 하나 있을 ... ...
일본 노벨상의 비결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5.10.07
간 게 일생의 첫 해외 출국이었다. 영어도 못해 노벨상을 받은 논문도 일본어로 쓴 뒤
동료
인 공동수상자 고바야시 마코토 교수가 번역했다. 과학동아 제공 그러나 이들은 자국의 울타리에 갇히지 않았다. ‘토종’ 과학자들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던 비결은 적극적인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없다. ‘작용-반작용’ 법칙만이 지배하는 무시무시한 공간에서, 스톤 박사는
동료
코왈스키의 손을 놓음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의 운동에너지를 획득하고, 무중력 ... 보여준다. 어떤 극한 상황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대처법을 찾아내며, 그 과정에서 지구의
동료
들이 단결된 힘을 보탠다. 마션은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부분이 많다. 밀러 교수는 지난 2007년 77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의 제자이자 오랜
동료
였던 제프리 바다 교수는 그의 유품을 정리하던 중 1950년대 실험에서 얻은 물질이 들어있는 바이알(작은 유리병)이 담긴 박스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최신 분석장비로 이 물질의 조성을 분석해 당시 밀러가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필히 우주복을 입어야 한다. 지난해 NASA는 새로운 우주복 ‘Z-2’를 발표했다. Z-2에는
동료
끼리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슴과 옆구리 등에 발광 소재를 붙였다. 또 두껍고 딱딱한 기존 우주복과 달리 첨단 복합소재를 사용해 튼튼하면서도 유연하게 만들어 움직임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않았다. 이렇게 한 세기 반이 지난 1837년 독
일의
생리학자 테오도어 슈반은 판 레이우엔훅이 ... 에탄올로 바꾼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1837년 독
일의
생리학자 테오도어 슈반은 효모가 발효를 ... 슈반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그의
동료
프란츠 메옌은 이 미생물에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후반 최고의 물리학자 두 사람은 같은 학교에 있으면서 서로 으르렁거렸다. 겔만은
동료
물리학자들도 그 과정을 이해하지 못할 통찰력과 수학기법을 동원해 놀라운 결과들은 내놓았는데 기묘도와 팔중도, 쿼크가 그의 3대 업적으로 꼽힌다. 기묘도(strangeness)는 다양한 입자들을 분류하기 위해 ... ...
과학자와 떠나는 지적(知的) 바캉스 성황리에 열려
2015.07.25
크게 전환된 해”라며 “시간의 동시성 개념에 빠져있던 아인슈타인은 특유의 호기심과
동료
들과의 끊임없는 토론으로 상대성이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조 강연에 앞선 인사말에서 동아사이언스 김두희 대표이사는 “바캉스는 여러가지 뜻이 있지만 그냥 비우는 것이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