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세 유럽 암흑기에도 여성은 예술혼을 불태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여성 수도원이었던 독일의 달하임수도원의 공동묘지에 묻힌 여성 유골들의 식단과 입속
미생물
을 조사하던 중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법을 통해 997년에서 1162년 사이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 45~60살 여성 유골의 치석을 조사하던 중 파란 입자를 찾은 것이다.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수도 있겠지만 당시 여러 실험실에서 눈에 불을 켜고 결핵균을 죽이는 항생제를 만드는
미생물
을 찾고 있었기 때문에 그사이 발견의 영광은 다른 연구팀에 돌아갔을 수도 있다. 제자 앞길 터주는 교수도 있어 반면 ‘원시지구실험’으로 유명한 스탠리 밀러(Stanley Miller)는 지도교수를 잘 만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고기를 줄이고 채소를 늘리는 방향으로 식단을 바꾸면 채소의 식이섬유를 먹이로 하는
미생물
이 우점종이 되면서 살이 빠진다는 것이다. 다이어트를 할 때 ‘얼마나’ 먹느냐 만큼이나 ‘무엇을’ 먹느냐도 중요하다는 말이다. 최근 다이어트에 관한 한 리뷰논문(단순히 살을 빼는 측면보다는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존 맥기헌 영국 포츠머스대 생명과학대 교수 역시 이
미생물
이 지니는 분해 효소의 구조를 바꿈으로써 PET 분해 성능을 개선해 4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 교수의 연구는 플라스틱 제조와 분해를 모두 아우르며 올해 과총 10대 국내 과학기술 ... ...
신임 과학기자협회장에 이영완 조선일보 과학전문기자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과학전문기자를 차기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신임 회장은 서울대
미생물
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와 동아사이언스를 거쳐 현재 조선일보 과학전문기자로 재직 중이다. 이 신임 회장은 “언론 현장과 일반 사회의 괴리를 극복하는데 협회가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과학기술계, ... ...
연말연시 모임 홍수속 내 체중을 지키는 과학적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미생물
환경이 3일 내로 급격히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일주일이 지나면 나쁜 장내
미생물
이 급격히 많아져 장내 점막층을 파괴하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진이 쥐에게 다시 이눌린이 들어간 먹이를 주자, 비피도 박테리아가 늘어나면서 파괴된 점막층이 다시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앤드류 ... ...
미세먼지와 전쟁,폐플라스틱에 맞선 연구…올해 국민을 웃고 울린 10大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6
말했다. 총 6개가 꼽힌 연구개발 성과분야에서도 환경 이슈가 1위를 차지했다.
미생물
로 플라스틱을 제조하거나 폐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친환경 플라스틱 기술이 큰 지지를 받았다. 그 외에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2배 이상 넘어서고 1200회 이상 충방전을 해도 초기 대비 80% 이상의 성능이 ... ...
자가면역질환 루푸스 근본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치료하는 치료제 개발에 진전을 이룰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면역
미생물
공생연구단의 임신혁 포스텍 생명과학·융합생명공학부 교수와 서창희 아주대 의대 류마티스내과 교수 연구진은 ‘Ets1’라는 유전자의 변이가 루푸스 발병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 ...
멸종위기 꿀벌 살릴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를 개발했다고 AFP가 16일 전했다. 꿀벌은 최근 바이러스와 곰팡이 같은 다양한
미생물
의 공격을 받고 사람이 뿌리는 농약에 영향을 받으면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몸집이 큰 동물과 달리 벌과 같은 곤충의 체내에는 백신개발에 필수적인 항체(당단백질)이 부족하다. 백신을 개발해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않아도 항생제를 끊임없이 투여받는다. 과학자들은 이 항생제로 인해 아이의 장내
미생물
환경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성장한 뒤에도 자주 병을 앓을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 캐나다 로키산맥에 속한 쿠트니국립공원의 계곡에서 셰일 암석층을 드릴로 자르고 있는 진 버나드 카론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