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의회
협의회
모임
의식
토론회
d라이브러리
"
회의
"(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기업군단 거느린 소프트 뱅크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보도할 정도로 화제의 인물이 됐다.그는 일본 총리의 자문기관인 일본산업경쟁력
회의
위원이며 총리가 공식모임 외에도 수시로 전화를 걸어 “정보혁명시대를 설계하는 일을 도와달라”고 요청할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회장이나 미디어의 제왕이라 불리는 ... ...
TV속의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CSICOP)가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TV에 등장했던 이들은 미국의 과학적 조사위원
회의
입에 오르내려 본 적도 없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초능력자가 아니라 유명한 축에 드는 마술사일 뿐이다. 속임수를 써서 보는 사람을 즐겁게 해주는 마술사다. 미국에서는 이들의 마술 비디오 테이프도 구할 수 ... ...
양(羊) 심장판막 인공배양에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모양으로 배양한 후 원래의 양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했다고 최근 미국심장학회 연례학술
회의
에서 발표했다.호어스트럽 박사는 양의 동맥세포를 채취해 시험관에서 대량으로 배양했다. 그 다음 생분해성 고분자로 양의 심장판막과 똑같은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배양한 세포를 붙였다. 2주 후 모형에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그러나 일각에서는 과학기술부의 인간게놈 사업에 대해
회의
적인 눈길을 보내고 있다. 가장 큰 지적은 선진국이 이미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인간게놈을 분석하는 상황에서 과연 한국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겠냐는 점이다. 최근 몇년 사이 선진국의 여러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859년 우스터 주교부인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됐다는 소식을 듣자 “맙소사, 인간이 원숭이의 자손이라니. 사실이 아니길 바랄 ... 있는 사람과 달리 숲에서 살아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들의 사회에 적응하며, 그들 사
회의
기술과 살아남을 수 있는 기술들도 배워야 한다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는 원격의료, 화상
회의
, 주문형비디오(VOD)가 가능함을 뜻한다.한편 일본은 차세대이동통신 개발의 선두주자답게 다양한 단말기를 선보였다.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자신의 얼굴을 보이며 화상전화를 할 수 있는 게 주요 ... ...
③ 직장 생활과 재해 안전 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생겼을 때 인명을 구조하는 로봇이 등장한다(2015년).● 2011년◎
회의
발표 내용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음성 워드프로세서가 보급된다.◎롤(roll)형 디스플레이가 개발된다(2014년).● 2011년팔목시계 크기의 화상전화기가 실용화된다. 전세계 어디에서나 상대방의 얼굴을 보며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9년 9월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생명복제에 대한 시민합의
회의
(과학동아 1999년 10월호 참조)에서 인간 배아(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후의 생명체)의 복제마저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연구자들은 곤경에 처했다. 현재 세계적으로는 수정 후 14일까지 인간배아의 복제를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수는 없는 상황, 레이저를 이용해 맞은 편 빌딩에서
회의
의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원리는
회의
실 유리창이 목소리로 인해 미세하게 진동하는 것을 레이저를 쏘아 감지해내는 것이다. 유리창에 레이저를 발사해 되돌아오는 파를 통해 음파를 검출해내고 이것을 음성으로 변환해내면 된다. 레이저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재규격화가 가능한지는 밝히지 못했다. 이론물리학자들이 표준이론에 대해 깊은
회의
를 품고 있었던 이유다.공을 다툰 사제지간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1960년대 말에 네델란드 유트레흐트 대학의 벨트만 교수는 자발적으로 대칭성이 깨진 게이지 이론이 재규격화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했다. 1969년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