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있는 반면, 결정축의 방향이 각기 다른 ‘다결정’ 나노입자도 있었다. 나노입자의 크기도 2~3nm 차이가 났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ax3233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나노입자가 어떤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어. 이 알고리듬을 ‘단순 알고리듬’이라고 하지.하지만 16×16, 16×30으로 지뢰밭의 크기가 점점 늘어나면 단순 알고리듬으로는 해결할 수 없어. 이런 경우엔 ‘탱크 솔버 알고리듬’을 써야 하지. 탱크 솔버 알고리듬은 숫자가 일부 공개된 칸 주변에 지뢰가 어디 있는지 모를 때, 지뢰가 있을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하지 않는 사람보다 수 밀리미터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시냅스의 1000배가 넘는 크기다.따라서 인간 뇌의 차이가 성별에 따라 타고난 것이라고 가정하는 건 현실적이지 않다. 그 차이 또한 학습의 결과일 수 있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성별에 따라 받는 교육, 기대,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반려동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실제로 장 교수팀은 2020년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손톱 크기의 무선 센서를 반려동물 목줄에 장착해 반려동물의 체온, 수면 질, 스트레스 지수 등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장 교수가 DGIST 대학원생들과 진행했던 연구를 기반으로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비결은 4G에 비해 한층 빨라진 5세대(5G) 이동통신 덕분이에요. 일반적으로 각설탕 한 개 크기인 홀로그램 1㎤를 생성하려면 1GB 수준의 데이터 용량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해요. 5G는 4G에 비해 속도는 40~50배 빠르고, 처리 용량도 100배나 많아 가능했지요. 또 지난해 10월 한양대학교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많이 이용되는 전동 킥보드의 바퀴는 직경이 8~10인치(20~25cm)로 작은 편”이라며 “(바퀴 크기가 20인치가 넘는 자전거에게는) 문제되지 않았던 조그만 돌출부위나 굴곡에도 넘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특히 전동 킥보드는 무게중심이 쉽게 이동해서 주행 중 넘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노창균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요구도 있었다. 가령 조사위원회는 나로호에 탑재된 진동센서 측정값으로 폭발 충격의 크기를 역으로 계산할 것을 요구했다. 진동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면 충분히 의미 있는 접근이다. 하지만 나로호에 탑재된 진동센서는 이륙과 비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계측하는 센서로, 이번 ... ...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시간이라 부르는데, 컴퓨터로 계산해도 시간이 오래 걸려. 우리가 초급이라고 여기는 9×9크기의 지뢰찾기를 해결하려면, 컴퓨터는 약 5.80×10120번의 계산을 해야 하거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일일이 열어보지 않고 더 쉽게 지뢰를 찾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찾아야만 해. 이 알고리듬이 과연 존재할까 ... ...
- [수학뉴스] 화석만 보고 공룡 성별 알아낸다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는 기준이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에반 새타 연구원은 “아직 크기가 더 큰 화석이 수컷인지 암컷인지는 알 수 없어 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항성 앞을 지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 테고. 이런 차이를 이해하면, 외계행성의 크기와 거리 정보를 얻어낼 수 있어. 탐사를 위해 키옵스는 지난해 12월, 남아메리카 기아나 쿠루 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발사됐어. 우주 환경에서 적응 기간을 거친 뒤 1월 말부턴 시험 가동을 했어. 본격 임무에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