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CTLA-4 항체 치료제(상표명 ‘여보이(Yervoy)’)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항체 면역 항암제가 됐다. PD-1 항체, 카터 전 대통령 뇌종양 완치로 유명 1992년 일본 교토대에서 T세포를 연구하던 혼조 교수는 ‘PD-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그는 이후 PD-1이 CTLA-4와 비슷하게 T세포의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과학자, 미국 3개 국립과학원에 모두 추대된 첫 번째 여성 과학자, ‘밀레니엄 공학상’ 최초의 여성 수상자, 이제는 5번째 여성 노벨 화학상 수상자까지. 이날 수많은 카메라 플래시가 기자회견장을 물들였다. 하지만 그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당당히 마주했다. 필자가 본 아놀드 교수의 모습 중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부스터는 바다에 떨어지면 회수했다. 1981년 4월 12일 우주왕복선 ‘컬럼비아’가 최초로 발사됐고, 54시간 동안 지구 궤도를 36회 시험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NASA는 ‘챌린저’ ‘디스커버리’ ‘아틀란티스’ ‘엔데버’ 등 우주왕복선을 운용하며 우주 개발을 이어갔다.우주비행사들은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chat]이희욱_ 동물원의 역사적 기원에 제국주의적 함의가 숨어있다는 점은 명백합니다. 최초의 근대식 동물원은 1752년 오스트리아 빈에 만들어진 ‘쇤부른 동물원’이었습니다. 제국주의 시대, 식민지에서 발견한 희귀동물들을 포획해 전시했던 것이 동물원의 시작이었습니다. 이후 야생동물의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미국 스타트업 에너저스(Energous)는 자사의 원거리 전력 전송기 ‘와트업(WattUp)’이 세계 최초로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의 인증을 받았다고 발표했다(비인가 기준인 1m 이내). 이는 전자제품이 인체나 다른 기기에 유해하지 않다는 뜻으로, 에너저스의 원거리 전력 전송기가 FCC 전자파적합성 테스트를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축소판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ITER는 KSTAR의 30배 크기다.올해 1월 한국은 회원국 최초로 ITER 장치의 진공용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블록)를 완성했다. 세그먼트 4개가 1개의 섹터를 구성하고, 이 섹터 9개가 모여 진공용기를 이룬다. ‘핵융합로의 꽃’으로 불리는 진공용기는 실제 핵융합 반응이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주변의 자기장의 변화와 반대가 됨을 뜻한다.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 덕분에 최초의 발전기가 등장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발전기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다가 가정과 공장에도 전기를 공급하면서 ‘전기의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현재 우리는 발전에 의한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위해서는 최소 초속 7.9km가 필요하다. 1967년, 극초음속 첫 도달 인류가 만든 비행체가 최초로 음속에 도전한 것은 1947년이다. 당시 미국의 벨항공기(Bell Aircraft·현재 벨헬리콥터의 전신)가 만든 시험기(XS-1)가 음속을 돌파했다. 라이트 형제가 유인동력비행에 성공했을 때가 1903년임을 감안하면, 4 ... ...
- [과학뉴스] 여드름균만 노리는 백신개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acnes)이 분비하는 독소 (CAMP·Christie-Atkins-Munch-Petersen)가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최초로 입증했다. 이번에 연구팀은 CAMP의 활성을 막는 단일클론항체(하나의 항원결정기에만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항체)를 만들었다. 이 항체를 사람의 피부세포 조각과 쥐에 주입해 염증반응에 변화가 있는지 ... ...
- [Origin] 한국 첫 과학 교과서를 소개하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1906년은 한국 과학사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서양의학을 우리말로 번역한 최초의 책 ‘해부학(1~3권)’과 최초의 화학 교과서, 물리 교과서가 차례로 출간된 해이기 때문이다. 당시의 과학 교과서는 지금과 얼마나 달랐을까. 주요 내용을 발췌해 그래픽으로 구성했다.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