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리튬보다 효율 높인 마그네슘 배터리 전해질 개발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리튬이온배터리는 음극의 리튬 금속이 이온화되며 방출한 전자가 이동해 전류를 생성한다. 이온화될 때 한 개의 전자를 방출하는 1족 원소인 리튬 대신, 2~3개의 전자를 방출하는 원소를 사용하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리튬보다 지구상에 1000배 이상 풍부하고 2개의 전자를 방출하는 마그네 ... ...
엔지니어의 손 끝, 누리호 심장을 빚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37만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완성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필두로 각 부품을 공급한 기업 수십여 곳의 노고가 컸다. 엔진, 연료탱크, 회전날개 등 각기 다른 기업이 저마다의 노하우를 누리호 안에 담았다. 그 중 누리호의 심장인 액체엔진 조립을 담당한 한화에어로스페 ... ...
3750m 질주의 과학 활주로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6월 17일 동이 트지 않은 까만 새벽, 영종도.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사이드토목팀은 인천국제공항 한 편에서 활주로만 주시했다. 첫 비행기가 착륙하는 순간을 보기 위해서였다. 비행기가 활주로에 닿자마자 마치 약속한 것처럼 다같이 환호성을 질렀다. 인천국제공항에서 13년 만에 새로운 활주로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유리 한 장에 갈린 생과 사, 솔부엉이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기사에는 유난히 조류가 많이 등장한다. 구조센터에서 생과 사를 달리하는 동물 중 조류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지난해 구조센터에서 구조한 1만 1269마리 중 조류는 7079마리로 전체의 약 63%다. 조류는 국내에 서식하는 척추동물 중 어류 다음으로 많다. 구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처음 읽는 2차 전지 이야기 오늘도 바쁘게 돌아가는 과학동아 편집실. 과연 기자와 디자이너들은 몇 개의 배터리(전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한 번 세어봤습니다. 기본적으로 각자 스마트폰과 노트북을 가지고 있고, 집중하기 위해 무선 이어폰을 낀 사람도 있습니다. 모두 충전해서 쓰는 2차전지 ... ...
방탈출 in 스페이스 지구로 목적지 설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
[통합과학 교과서] 눈 따끔, 목 칼칼! 신데렐라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통합과학개념 이해하기 두 얼굴의 오존?! 오존이 두 얼굴의 화학물질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특히 “오존층을 보호해야 한다!” 같은 구호를 들은 친구들은 오존이 생명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놀랄 거예요. 오존(O3)은 산소 분자(O2)에 산소 원자(O)가 하나 더 결합된 기체예요.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어과동 친구들은 외계인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그 외계인을 찾는 탐사 프로그램에 함께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참여하실 건가요? 장난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외계에서 온 신호를 분석하는 ‘세티 앳 홈(SETI@home)’이라는 프로젝트가 있어요. 해당 웹사이트의 소프트웨어를 받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11월 24일 미국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는 특별한 임무를 부여받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이 발사된다. 임무 제목은 ‘쌍 소행성 궤도수정 시험(DART·다트)’. 우주선을 소행성에 충돌시켜 소행성의 공전 궤도와 속도를 바꾸는 게 목표다.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한다면 언젠가 발생할지 모 ... ...
[기획] 2021 THE NOBEL PRIZE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내 재산으로 기금을 만들어 매년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을 준 사람들에게 수여하고자 한다.”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은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됐다. 물리학상 수상자들은 우리를 둘러싼 복잡계를 이해하고 인류가 직면한 지구온난화의 원인을 밝혀냈다. 화학상은 인류를 질병에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