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NASA)의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사진에서 수상한 물체가 포착됐다. 일반적인 돌이나 바위와 달리 지나치게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어 외계문명의 흔적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NASA는 “바위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이라고 일축했다. 3월에는 칠레 아타카마 지역에서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0.05퍼센트 이상인 경우’라고 규정하고 있다(제44조 4항). 혈중알코올농도 0.05%는 일반적으로 소주 2잔(50mL), 또는 맥주 2잔(250mL) 정도를 마시고 1시간이 지난 상태에 해당한다. 술은 시공간의 지각 능력과 판단력을 떨어뜨린다. 반응속도도 느려진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혈중알코올농도가 0.05%일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또 있습니다.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에는 연구비의 출처를 명시하게 돼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과학 연구는 공익적인 성격이 강한 만큼 정부 연구비를 받아 수행되는 경우가 많아 정부 기관의 이름이 적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는 과불화화합물을 생산하는 당사자인 3M이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게 많은 학과라고. 면접의 기본은 예의 18학번 표영욱 한성과학고를 졸업하고 수시 일반전형으로 화학생물공학부에 합격한 표영욱 씨는 어렸을 때부터 화학을 좋아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과학고에 진학했고, 공부를 하면서 순수과학보다는 응용과학이 잘 맞을 것 같다고 생각해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번이 9번째랍니다. 이번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5명을 포함해 일반인과 전문가 총 470명이 탐사에 참여했어요. 올해 바이오블리츠의 가장 큰 특징은 박쥐와 지렁이 조사가 처음으로 포함됐다는 거예요. 사실 대전 만인산은 도시와 얼마 떨어지지 않아 생물종이 다양하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세균과는 전혀 다른 존재예요. 우선 바이러스의 크기는 세균의 1000배 정도로 작아서,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생명체인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에 있다는 점이에요. 바이러스는 막대나 공 모양의 매우 작은 단백질 막 안에 유전자가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분석을 통해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찾아내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새의 케라틴 구조는 짧은 길이로 나눠져 있는 반면, 쇠유리새의 케라틴 구조는 실처럼 길게 이어져 있다. 때문에 쇠유리새 깃털의 파란색은 조금 탁한 편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구조색의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계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척추가 로봇 수술을 진행하기 어려운 부위라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수술은 질소 가스를 수술 부위에 주입해 공간을 확보한 뒤 포트(port)라고 불리는 구멍을 몇 개 뚫어 한쪽으로는 내시경을, 다른 쪽으로는 수술 기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즉, 수술 기구가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포장한 뒤 65~85도의 물이 담긴 수조나 스팀오븐에서 조리하는 방법입니다. 대개 가정이나 일반 식당에서는 음식을 가열할 때 100도의 물에서 끓이거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 기름에 볶습니다. 튀김 요리는 180도까지 온도가 올라갑니다. 그런데 90도도 되지 않는 저온에서 어떻게 고기와 채소를 익히는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언젠가 아주 특별한 경우에 성립하는 항등식을 보여준 적이 있어요. 전 그 항등식을 일반화할 수 있냐고 물었고 재기어는 안 될 거라고 했죠. 그런데도 전 그 문제에 꽂혀버렸어요. 그래서 박사 후 연구원과 함께 이 항등식에 매달렸어요. 이제 풀었다 싶으면 틀리고, 드디어 생각해냈다 싶으면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