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95쪽 박스 기사 참조). 확진할 수 있는 검사법조차 없다. 근전도검사 혈액검사 방사선검사 유전자검사 등 다양한 검사법이 동원되지만, 어디까지나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모든 검사를 마친 뒤 기존에 알려진 질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그때서야 루게릭병 판정을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야기지. 앞에서 한 유전자 이야기를 떠올려 보렴. 사람이 오래 살면 살수록 오래 사는 유전자가 ‘자연선택’될 가능성이 높지 않겠니?구석기 시대 사람들을 생각해 보렴. 그 때는 수명도 짧고 자연의 위험을 그대로 받아 안던 시기라 빨리 아이를 낳았어야 했지. 지금 네 엄마 나이의 사람들에게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또한 수학 유전자가 있다면 물리 천재 유전자, 천재 신문 기자 유전자, 대통령 유전자도 있어야 합니다. 결국 이 프로젝트는 과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답니다 ... ...
- PART1.전염의 시작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영원히 죽이지 않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제서야 에볼라 바이러스가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퍼뜨릴 수 있게 진화한 셈이다.에볼라는 어떻게 지금처럼 진화한 걸까.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다. 독일 베른하르트 노치 병원의 스테판 군터 박사팀은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의 DNA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뒤섞기도 하고, 변이도 그만큼 쉽게 일어난다. 반면 에볼라는 복제 과정에서 8개 유전자가 함께 움직인다. 에볼라에서 ‘대변이’가 드문 이유다.김 단장은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게 되면 상당 기간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면서도 “에볼라를 박멸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인류 역사상 ... ...
- 자살 알려주는 혈액 검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메틸기가 유전자에 달라붙어 유전자의 활성을 조절하는 메틸화 작용(후성유전)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연구팀은 실제 예방에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325명의 혈액을 분석해 메틸화 여부를 확인했다. 그리고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지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아직 일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 플라스미드에 에볼라 유전자를 넣어 에볼라 항체 생산을 유도한다. 에볼라의 RNA를 추출한다. 에볼라 RNA로 이중가닥 DNA를 만든다. 에볼라 DNA를 가진 재조합 플라스미드. 플라스미드를 박테리아에 넣어 대량생산한다. B세포 중 일부는 ...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다른 단백질들의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죠. 여기서는 손가락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활성화하겠죠?샤프 교수님, 그럼 교수님이 만든 수학 모델이 실험적으로도 입증이 된 건가요?제임스 샤프 교수 : 우리 연구팀은 손끝 조직을 배양시켜, 실제로 만들어지는 패턴과 연구팀의 모델로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그런데 이 장치의 신뢰도는 95% 이상이다. 바꿔 말하면 5% 이하로 오진 확률이 있다. 유전자 전체를 검사하는 게 아니라 특정 부위만 검색하기 때문이다. 김상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시료가 훼손됐을 때나 초기감염처럼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는 정확하지 않을 수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