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한정된 자원을 나눠 쓰기 위해 고안한 방식이다. 왼쪽은 주파수를 나눠 쓰는 FDMA고, 오른쪽은 시간을 나눠 쓰는 TDMA다.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통신 방식을 바꿀 수 있었던 데는 압축 기술과 광섬유 전송기술의 발달이 큰 역할을 했다. 디지털 신호를 작게 압축하는 기술이 발달해 아날로그73와 ... ...
- 과학이 맺어준 커플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기쁠 때 입꼬리가 뒤로 올라가고 눈가에 주름이 지는 미소를 짓는다는 것을 밝혔다(오른쪽). 이 미소는 사람이 억지로 지을 수 없는 표정이다.]남자라면 유머가 필수다. ‘연애’(원제 메이팅 마인드)의 저자인 제프리 밀러 미국 뉴멕시코대 교수는 뛰어난 유머감각은 그 사람이 가진 유전자의 ...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두 공의 *접점이 중앙에서 1°라도 왼쪽에 생긴다면, 수구의 분리각이 90°에 가깝고 공은 오른쪽 방향으로 굴러갈 것이다.적구는 두 공이 만나는 접점과 적구의 중심이 만나는 직선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❺번과 같은 상황이라면 적구의 분리각이 90°가 돼 왼쪽 방향으로 굴러간다. 자연스럽게 ...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인정받아 ITER 전체 건설비의 약 9%에 해당하는 품목 9개를 제작해 조달할 예정이다. 오른쪽 9개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라고 여겨지는 기술들이다. 아래는 KSTAR의 내부모습이다. ITER의 20분의 1 크기로 규모만 다를뿐 기능과 성능이 매우 유사하다.] [2020년 후반 우리나라에 제작할 실험용 핵융합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수 없다.규칙 ③ 말은 한 칸에 최대 5개까지 모을 수 있다.규칙 ④ 흰 편은 자기편 안육(오른쪽 위 6칸)에, 검정편은 자기편 안육(왼쪽 위 6칸)에 말 15개를 모두 모은 다음, 안육의 一(일) 밖(종착지)으로 내보내면 이긴다. 건너편 말은 상대의 바깥육(아래쪽)으로 옮겼다가 자신의 바깥육을 거쳐, 다시 ...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빨간색 쐐기는 부상으로 죽은 사람이다. 검은색 쐐기는 기타 이유로 죽은 사람을 뜻한다. 오른쪽 그림을 보면 대체로 파란색 쐐기가 크지만 왼쪽의 그림을 보면 파란색 쐐기의 크기가 많이 줄어들었다. 나이팅게일은 이 도표를 통해 군 병원의 위생상태가 개선되면서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 ...
-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조금 어려웠나요? 이제 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볼 차례예요. 이 그림에는 오른쪽위 구석에 있는 정사각형 안의 숫자를 수평, 수직,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더하면 모두 34가 되는 마방진이 있어요. 그 중 대각선은 짝수와 홀수의 합 으로 이뤄져 있어요. ...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압축된다.① 오른쪽으로만 접는 경우② 오른쪽 한 번, 왼쪽 한 번 번갈아 접는 경우③ 오른쪽으로 한 번, 위로 한 번 번갈아 접는 경우④ 오른쪽, 위, 왼쪽, 아래의 순서로 접는 경우이때 나타나는 흔적의 배열을 (0,1)-코드와 (0,1)-행렬을 이용해 그림으로 나타냈고 골과 등성이의 개수를 가우스 함수를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중요하다. 대형서점은 고객이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법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오른쪽은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한 대형서점의 분류표다.이 서점에는 수학 관련 도서를 I11 구역에 보관한다. 그중에서도 공업수학·미적분학이 가장 먼저 있고 대수학·선형대수와 수학이론 순으로 꽂혀 있다. ... ...
- Part 2. 숙주 특이성과학동아 l2011년 02호
- 60개씩 있는데 VP4는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아래는 결정구조로 왼쪽이 구제역바이러스, 오른쪽이 리노바이러스(감기바이러스)로 매우 닮았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지름이 100nm 정도이고 캡시드단백질을 지질막이 감싸고 있는 구조다. RNA게놈은 8개의 조각으로 나눠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