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8년은 한국 입자물리 연구의 원년이 될 것인가. 1967년 4월 29일 한국물리학회 입자물리분과가 창립된 이후 한국의 입자물리 연구는 약 50년간 격변을 이뤘다. 과거의 입자물리 연구가 대부분 해외 의존형이었던 것과 달리, 현재는 한국 과학자가 국제 공동연구를 주도하고 국내에서도 대형 연구 프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몰은 탄소-12 0.012 킬로그램에 있는 원자의 개수와 같은 수의 구성요소를 갖는 어떤 계의 물질의 양이다. 몰의 기호는 ‘mol’ 이다. 몰을 사용할 때는 구성요소를 반드시 명시해야 하며, 이 구성요소는 원자, 분자, 이온, 전자, 기타 입자 혹은 입자들의 특정한 집합체가 될 수 있다. ’물질의 양을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 어제 우리 강아지가 밤새 헐떡이며 침을 흘리고 돌아다녀서 잠을 한숨도 못 잤어요.# 어젯밤에 강아지가 구석에 들어가서 벌벌 떨고 있는데, 너무 안쓰러워서 혼났어요.# 방문을 닫으면 문을 열어달라고 밤새도록 문을 긁고, 열어주면 안아달라고 졸라대서 강아지도 저도 밤새 못 잤어요. 소음 ... ...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남과학고는 전남 지역에 있는 유일한 과학고로, 2014년 광주과학고가 영재학교로 전환한 뒤 광주 지역 학생들도 모집하고 있다. 과학고 입학을 꿈꾸는 전남·광주 지역 학생 이라면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의 말에 귀를 기울여 보자. “풀이 과정 말로 풀어내도록 연습해야”조 부장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드라마에서 과학수사대는 가장 먼저 범죄 현장에 도착해 범인의 흔적을 찾아요. 각종 도구를 이용해 범인의 발자국과 옷, 혈액 등을 찾지요. 그 중 가장 중요하게 찾는 단서 중 하나가 지문이에요. 지문은 손가락 끝에 있는 곡선 무늬를 말해요. 우리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만들어져서 평생 그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국내 최초 팔씨름을 소재로 한 영화 ‘챔피언’이 5월 개봉한 지 12일 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팔 두께가 20인치(50.8cm)나 되는 ‘팔뚝 요정’ 마동석 씨의 열연이 흥행의 이유이기도 하겠지만, 손에 땀을 쥐게하는 팔씨름 선수들의 경기 장면 또한 영화의 백미다. 백전백승, 팔씨름 경기에서 이길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사람의 뇌에서는 대부분 신경세포(뉴런)가 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한 번 손상된 뉴런을 원래 모습으로 복구하기가 어렵다. 치매나 뇌졸중 등 뇌질환을 완치하기 어려운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유일하게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에서는 뉴런이 새로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주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연세대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사실 내신이 연세대에 들어올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오늘 소개할 ‘마스터마인드’는 ‘스무고개’와 비슷한 방식으로 암호를 맞히는 게임이에요. 단, 스무 번이 아니라 보통 열두 번 만에 암호를 맞혀야 하니까 신중하게 임해야 해요! 오늘 소개할 게임은 상대방이 낸 암호를 맞히는 보드게임인 ‘마스터마인드’예요. 마스터마인드는 1970년 이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 주작년 11월 15일 포항지진이 발생한 뒤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와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지열발전이 포항지진을 유발했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두 교수는 최근 그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논문 교신저자인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