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지켜보면 본래 유전자의 기능을 알 수 있다.이 기술은 특정 부위를 정확히 찾아가 기능을
억제
시킨다는 면에서 ‘유전자 적중술’(gene targeting)이라 불린다. 이제 유전자의 기능을 넣는 일 외에도 ‘빼는’ 길이 열린 셈이다.키메라 등장그렇다면 ‘유전자 적중술’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대상은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체내에 흡수된 화학물질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해 남성의 정자수를 감소시키고 성장
억제
와 생식이상 등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카슨이 ‘침묵의 봄’을 쓰게 된 동기는 1958년 1월 허킨스라는 여자가 보낸 한통의 편지 때문이었다. 그녀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작은 세상에서 생명의 모습이 사라지고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먹은 양 이상으로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 이것은 술과 커피가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억제
해 소변을 많이 만들기 때문이다.사구체가 핵심소변을 못보고 몸이 붓는 사람들이 있다. 보통 요독증(의학적으로는 신부전증이라고 한다)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소변으로 못 빠져나온 독기가 몸에 밴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치를 낮추는 약은 초저녁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또 위궤양환자에게 위산분비를
억제
하는 약을 쓸 때 저녁식사 후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위산은 밤에 활발하게 분비되기 때문이다.생체리듬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약물 치료를 넘어 인간의 수명을 결정짓는 뇌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몸 곳곳에서 방해한다면 신체의 기능이 온전할리 없다. 무차별적으로 몸의 생리기능을
억제
할 뿐 아니라 심한 경우 암을 일으킬 수도 있는 요주의 물질이다.다이옥신은 몸 안에 들어오면 호르몬처럼 혈액을 타고 돌아다닌다. 그러나 차이가 있다. 호르몬은 도달해야 할 목표 지점이 있다. 이에 비해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짜는 것은 위험천만이다.먹는 약은 염증을 가라앉혀 주고, 세균도 죽이며, 피지분비도
억제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지속적으로 2-3개월 꾸준히 복용하면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복용하다가 조금 좋아진다고 금방 끊어 버리면 여드름이 쉽게 재발되므로 전문의에게 상의하는 것이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pH)를 낮춰 미생물의 증식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또 수분의 함량을 낮춰 음식의 부패를
억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건조식품이라든가, 젓갈에 소금을 넣는 것, 그리고 설탕 등을 넣어 과일 잼을 담그는 것 등이 이에 속한다. 하지만 이것은 미생물의 증식이 느려진 상태이거나 일시 정지된 상태일뿐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에이즈 치료제는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이 아니고 더이상 자신을 복제하지 못하도록
억제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백신 개발에 주력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돌연변이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즉 돌연변이를 미리 예측해서 변종이 나타나기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하는 것은 다름아닌 이완기법을 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말하자면 잡념을
억제
하며 계속 기도를 드리는 사람은 결과적으로 자신의 이완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심령요법의 경우 환자는 대개 최면상태에 빠진다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증가시키지만, 기준치를 넘어서면 급격하게 발열량을 줄인다. 또 낮에는 발열을
억제
하고 기온이 떨어지는 밤에 다시 발열을 시작한다.이처럼 식물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온도가 올라가면 생체반응을 줄이기 때문인지, 산소반응을 직접 막는 까닭인지, 산소반응을 막기 위해 산소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