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1,15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표준으로 정착되고 있다. 단지 컬러 LCD의 가격이 5백만원 이상이어서 컬러모니터를
쓰기
어렵다는 흠이 있다.반도체칩노트북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반도체칩의 수가 별로 많지 않다. 몇개 또는 수십개 칩의 기능을 한데 묶은 칩세트(chip set)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80년대 중반 AT기종이 처음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일본산을 가지고 있었다. 더러는 그런 고급수입주판을 가져보려고 부모님께 떼를
쓰기
도 했다. 요즘은 더 빠른 컴퓨터로 바뀌달라고 부모님 속을 썩이겠지만.주판통에서 주판을 꺼내는 순간 대부분의 사람은 그 주인의 실력을 가늠한다. 새까만 손때로 반짝거리는 주판의 모습은 그 사람이 상당히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물이 말랐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아남은 화성인은 극관에만 남아있는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서 관개용 운하를 파놓았다. 운하의 선이 자연적으로 생기기에는 너무 직선이다. 또 화성 표면 일부의 색이 여름에는 어두운 색깔로 변하는데, 이것은 식물이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소련의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자유스럽지 못하다. 펀치카드의 역할(?)어떤 지역에서는 손가락을 쓰지 않고 도구를
쓰기
도 했다. 항상 신비스러움을 전해주는 잉카제국에서는 노끈의 매듭을 이용해서 숫자를 표시했다. (그림3)을 보시라. 잉카인들의 문자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나무막대에 치렁치렁 매달린 매듭 글자만이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아이로 보여졌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은 3살때까지 말을 제대로 못했다. 또한 학교에서
쓰기
와 철자법에 문제가 있는 학생으로 지적당했다.그는 학교가 자신의 생각이나 연구에 몰두하는 데 장애물이 된다고 여겼다. 학교에서는 기계적으로 외우는 것을 강요했고, 이유에 대해서 토론하거나 발표할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파도 거의 벌레를 볼 수 없다. 근년에 와서 김을 매는 인력이 부족해져 제초제를 많이
쓰기
때문에 토양오염은 특히 심하다.굼벵이나 땅강아지 등 뿌리에 해를 끼치는 벌레도 있지만 이들의 작용에 의해 토양속으로 산소가 공급되고 그로 인해 유익한 세균이 번식되기도 한다.지렁이가 사라졌다.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모멸감을 안겨주는 참담한 실험이었다. 모든 생명과학 기술은 양면의 칼과 같아서
쓰기
에 따라서 사뭇 다른 효과를 유발한다.수년전 프랑스의 바댕테(Badinter)여사가 '양쪽 모두'(L'un et L'autre)라는 저서를 통해 남성의 임신 가능성을 시사하자 구미(歐美)가 온통 이 문제를 최대화제로 삼은 적이 있다. ... ...
주변기기 활용법/ 디스켓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다.오른쪽 상단에 있는 홈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으로
쓰기
방지홈(write protect notch)이라고 하며 만일 테이프 등으로 이 부분을 막아 놓으면 아무 것도 기록할 수 없게 된다.디스크는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몇가지 통일된 내부구조를 갖는다.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 ...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딴 은행잎이 약효가 좋다고 한다. 실제로 인삼의 고장, 금산 익산 강화도에서 약으로
쓰기
에 딱 알맞은 은행잎이 생산된다. 특히 강화도는 은행잎과는 '상극'인 해안지역임에도 불구하고.불과 몇년 전까지는 가로수에서 직접 은행잎을 따 써도 훌륭한 약재가 돼 주었다. 그러나 이제는 전체 은행잎의 ... ...
키보드없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문자만을 기계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표준방식이란 모든 일본인이 교육받은
쓰기
법이다.엔지니어들은 일본인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엄청난 숫자의 상용한자 때문에 어찌할 도리가 없다고 한다. 신문 한장을 다 읽으려면 적어도 2천자의 한자를 알아야만 한다. 그뿐 아니라 발음기호와 로마자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