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기억과 트라우마의 관계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세포
와 분자 수준에서 트라우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연구해, 생리학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이 발표됐다(doi:10.1038/nrn3339). 지난 30년 동안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 논문은 수천 편이 쏟아져 나왔지만, 안타깝게도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동아리다. 뇌와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탐구한다. 뇌 신경
세포
인 ‘뉴런(neuron)’과 한국어 발음이 비슷하면서도 끊임없이 배움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동아리 이름을 ‘뉴런(NEW LEARN)’으로 지었다. ‘뉴런’ 1호 발간하고 2호 준비뉴런은 2014년 작은 스터디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놀랍도록 닮았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시금치를 뼈대로 이용해서 심장의 줄기
세포
를 키우면 인공 심장 조직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했지요.실험 결과, 실제로 저희가 만든 인공 심장 조직은 심장처럼 꿈틀거리기도 하고, 칼슘 등의 영양분을 이동 시키기도 했답니다!Q 앞으로의 계획은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연구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또, DGIST 뇌인지과학전공 대학원에서 인턴십을 하며
세포
내의 대사물질과 대사회로를 연구하는 대사체학(Metabolomics)이라는 분야를 알게 됐다. 이를 통해 대사체학과 영상의학을 결합하면 좋겠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그는 “교과서로만 지식을 배우거나 전공을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세포
가 반응하는 물질만 추려내면 환자 맞춤형 약이 탄생하는 거죠. 앞으로 유도만능줄기
세포
가 의과학 분야의 지형을 어떻게 바꿔 놓을지 기대가 됩니다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같은 행성과 태양계를 다룬다. 그리고 다섯 번째 문턱은 지구에 출현한 첫 생명체인 단
세포
생물을 다룬다. 인류는 여섯 번째 문턱을 지나서야 등장한다. 훗날 인류로 진화한 ‘호미닌’이 이야기의 서막을 연다. 일곱 번째 문턱은 집단 학습을 통해 세대를 넘어 정보를 축적하는 호모 사피엔스 ... ...
[과학뉴스] 유리도 3D 프린터로 인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세라믹, 금속은 물론
세포
와 음식까지…! 3D 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는 영역이 점점 넓어지고 있어요. 이제는 유리도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게 됐답니다.최근 독일 카를스루에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액체 유리’를 개발하고, 3D 프린터로 유리로 된 물체를 찍는 데 성공 했어요. 액체 유리에는 유리의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어쩐지 볼은 깨끗해졌네’라는 반응이 돌아온다. 박 원장은 “레이저 공격에도 모낭
세포
가 죽지 않을 수 있다”며 “몸에서 재생 또는 치유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시술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기자는 총 20회 시술을 결심했다. 그러니 아직은 더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피뿌리풀 추출물이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레티놀 등 현재 주름개선 화장품에 주로 들어가는 성분들과 비교한 결과 주름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MMP1)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좋았다. 노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박사는 사람들이 칼슘맛에 묘하게 끌리면서도 쓰다고 불쾌해하는 이유에 대해 “칼슘은
세포
간 신호 전달이나 뼈 성장 등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신장 결석이나 심장질환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며 “미량만 섭취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포도당이나 짠맛을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