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잡"(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왼쪽부터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 프레이저 스토더트 교수, 장피에르 소바주 교수다. 노벨상의 상금 800만 크로나(약 10억 4000만 원)는 세 명이 나눠 갖는다.]“전자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하지만 명확하게 작동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요? 그런 기계는 유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쓴다. 최신 아이림은 이런 그립을 24가지 할 수 있다. 놀라운 진전이지만, 아직 인간 손의 복잡한 동작 중 10%도 채 따라 하지 못하고 있다.최신 아이림은 손가락 끝에 압력 센서가 있다. 여기에 첨단 IT 기술이 집약돼 있는데, 종이컵 같이 부드럽고 가벼운 물체를 잡을 때는 너무 강하지 않게 적당한 ... ...
- [수학뉴스] 수학자 족보가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25일 기준으로 이 족보에는 20만 1618명의 수학자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벨기에 나무르대 복잡계센터의 플로리아나 가르기울로 박사는 이 수학자 족보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족보의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족보의 데이터와 위키피디아, 학자들의 온라인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각도를 갖는 역단층 운동도 함께 일어났다”고 설명했다.지하 심부의 단층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큰 규모의 단층 운동이 있은 뒤에는 반드시 2차적인 단층 활동이 수반된다. 큰 나뭇가지를 흔들면 붙어있는 작은 나뭇가지에도 진동이 전달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주향이동 단층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비용 문제가 있었다. 홍채인식 기술은 모두 홍채의 주름 패턴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복잡 미묘하게 얽혀 있는 주름을 정확하게 읽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동양인처럼 홍채가 검으면 일반 카메라로는 촬영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아이디어를 낸 것이 야간 촬영 시에 주로 사용하는 ...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반사적이고, 더 많은 상상력을 동원해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감정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달콤씁쓸, 시원섭섭처럼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함께 느낄 때도 있다. 그래서 상황에 대한 맥락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세심하게 관찰할 때에만 당시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최근에는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예정이다. 최근 VR 열풍에서 알 수 있듯, 보고 체험하길 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복잡하고 큰 데이터가 자꾸 만들어지는 공학, 과학 분야도 마찬가지다. 슈퍼컴퓨터와 결합한 고급 가시화기술이 활약할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그러자면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가진 거대 데이터의 공유가 필요하다.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람도 있고, 못마시는 사람도 있으니 이에 대한 추가 설정도 필요하죠?이선민 너무 복잡한데요. 경찰관과 싸움도 많이 날 것 같고요(웃음).허충길 지금의 C언어가 그렇습니다. 개개의 규칙을 관통할 일종의 법칙이 없습니다. 제가 하고 있는 연구는 C언어의 규칙을 새롭게 정의하는 겁니다. 모든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나타내는 네트워크입니다. 정말 복잡하게 얽혀 있죠?”핸더슨 그룹 리더는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힌 연구원들 사이의 연결망을 보여주며 말했다. LMB 연구자들이 그룹에 관계없이 얼마나 활발하게 협업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이었다. 그는 “티타임을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연구자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능케 한다. 손의 구조와 움직임이 복잡한 만큼, 뇌가 손을 제어하는 메커니즘도 아주 복잡하다. 손을 움직일 때는 대뇌피질의 운동 영역이 34개의 근육 중에서 필요한 근육을 선택해 미약한 전기신호를 보낸다. 이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근전기신호라고 한다. 전기신호를 받은 근육의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