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밝은
별
만 보여 줬을 땐 길을 잃었어요. 쇠똥구리에게 필요한 ‘나침반’은 은하수처럼
별
이 가득 모인 빛무리라는 이야기예요. 연구팀은 다른 곤충도 같은 방식으로 길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항성 VS 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빛과 열을 내는 천체를 가리킵니다. ‘
별
’이라고 부르는 천체가 항성이에요. ‘붙박이
별
’이라고도 하지요. 항성이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것은 천체에서 열핵융합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항성으로는 태양이 있어요. 태양이 만든 에너지로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인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줄어든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그녀는 사람들이 통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질병의 원인
별
사망률을 그래프로 그리고 병원 환경 개선을 주장했어요. 실제로 병원 위생이 개선되자, 병원의 사망률이 42%에서 2%로 급격히 떨어졌어요.이처럼 통계는 과학과 함께 발전했어요. 앞으로도 과학의 발전 속도에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데카르트를 보고는 희미한 미소를 띠며 말했다.“파티에 참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별
일 아니니 걱정 말고 파티를 즐기세요. 전 잠시….”앨리스는 그를 뒤따라 나갔다. 데카르트는 걱정됐지만 손쓸 도리가 없었다. 그때 행사 진행자가 활기찬 목소리로 말했다.“자선 행사의 일환으로 퀴즈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혼돈을 정상으로 되돌려 놔요!무슨 말을 하는 거냐? 난 지금 카오스를 연구하는 중인데,
별
소릴 다 듣겠구나.카오스 현상에 나타나는 이상한 끌개카오스 이론은 컴퓨터와 함께 발달한다.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복잡한 방정식의 근삿값을 쉽게 풀이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카오스 이론이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만난다. 이때 줄리엣은 로미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하지만 로미오는 줄리엣에 대해
별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② 줄리엣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은 줄리엣의 사랑에 비례해 증가한다.③ 로미오에 대한 줄리엣의 사랑은 로미오의 사랑에 비례해 감소한다.이제 매개변수★ t(시간)를 이용해 로미오의 ... ...
3화 큐피트상과의 한판 승부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놀란 얼굴로 바라보며 말했다.“어떻게 창문으로 온 거야? 아무튼…, 우린 괜찮아. 다들
별
일 없지?”그들은 그 동안 있었던 일을 간략하게 주고받았다. 데카르트는 폴리스와 하루가 앨리스의 방에 다녀온 얘기를 듣더니 심란한 표정이었다.“앨리스의 방에 TV란 물건이 있었나? 아무튼 그녀가 그 TV란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중력에 의한 수축이 사라지면 핵융합 반응에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지 못할 것이다. 즉,
별
도 더 이상 빛나지 않게 된다. 우주 전체적으로도 마찬가지다. 우주를 수축시키는 힘이 사라지므로 지금보다 더 빠르게 가속 팽창을 할 것이며, 결국 우주는 산산이 흩어지게 된다.태양의 중력에서 벗어나 점점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일조차 어렵다. 이들을 만나러 간 지구인은 강한 기조력을 해결하기 위해 중성자
별
을 공전하는 우주선 주위에 훌라후프를 두른다. 우주선을 중심으로 소행성 여섯 개를 둥그런 고리 모양으로 배치한 것이다. 먼저 지름 250km인 소행성을 지름 100m로 압축해 밀도가 아주 높은 물질로 만든 뒤, 우주선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칠레, 호주 등 남반구에 지름 1.6m급의 거대 망원경을 설치하는 계획으로 남반구의
별
을 24시간 관찰할 수 있다. 남반구의 밤하늘은 아틀라스의 망원경이 볼 수 없는 곳이다.세계 여러 나라들이 힘을 모아 위협적인 소행성을 발견한다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 위협적인 천체를 조기 발견할 경우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