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코가 뛰어나서가 아니라, 코카인 같은 냄새 분자에 예민하기 때문이라는 뜻이다. 반대로 말하면 사람이 잘 맡는 냄새를 개가 잘 못 맡는 경우도 있다. 사람이 개나 다른 동물에 비해 잘 맡을 수 있는 냄새는 커피향(3-메르캅토-3-메틸부틸포름산염)과 바나나향(초산 아밀) 등이다.2006년 ‘세포 및 분자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체군 평균보다 더 낮은 빈도로 가지고 있다면, 두 개체는 부정적으로 연관된다(r < 0). 반대끼리 끌린다. 내가 상대에게 준 손실의 일부는 내 이득이 된다. 만약 상대방이 개체군에서 무작위적으로 뽑은 개체라면, 두 개체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r = 0). 나 때문에 상대방이 이득을 보건 손해를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아침밥을 먹으면 성적 오를 확률이 20% 증가한다’고 홍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반대로, 아침밥을 먹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1명만 성적 올라’, ‘0.1%포인트 증가에 그쳐’라는 표현을 쓰겠지요. 이렇게 글에는 쓰는 사람의 의도가 반영됩니다. 그러므로 기사를 비판적으로 읽기 ... ...
- [Career] ‘비움의 미학’ 실현하는 3D 프린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널리 알려져 있다.자연을 흉내 내면 기능적인 면에서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지만, 반대로 쓸모없는 부분을 생략할 수도 있다. 김남훈 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이런 예로 ‘사람의 뼈’를 떠올렸다. 그는 뼈처럼 핵심 구조만 간직한 기능적인 제품을 만들기 위해 3D 프린터를 활용하고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의 논문이 실렸다. 언론은 이 내용을 앞다퉈 보도했으며 백신접종반대 운동이 시작됐다. 영국의 MMR 백신 접종률은 급격하게 낮아졌으며(아래 그래프), 이로 인해 홍역 감염자는 늘어났다.하지만 그의 사기는 곧 들통났다. 2004년 영국 선데이타임스의 브라이언 디어 기자가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집단면역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에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백신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다른 아이가 백신 접종을 했다면 백신을 맞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사실일 수 있다. 대부분의 아이가 백신 접종을 하고 일부의 아이만 하지 않을 경우, 백신을 맞지 않은 아이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숫자는 순간적으로 늘어나게 된답니다.한편 엘리베이터가 내려가기 시작할 땐 그 반대예요. 체중계와 몸이 함께 아래로 떨어지며 우리 몸을 떠받치는 힘이 줄어들어요. 따라서 순간적으로 체중계에 표시되는 숫자는 작아진답니다.시원이가 비행기에서 떨어지기 시작할 때도 마찬가지예요. 체중계가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편광판으로 한 것을 ㅅ‘ ’ 방식이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때 수평(0°)과 반대각선(135°) 편광판을 통과한 빛을 각각 ‘0’에 대응시키고, 수직(90°)과 대각선(45°) 편광판을 지나온 빛을 ‘1’이라 한다면, ‘0’ 또는 ‘1’ 중 어떤 정보값을 갖는지, 또 ‘ㄱ’ 또는 ‘ㅅ’ 중 어느 방식으로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우주선의 컴퓨터는 인근 상점에 있는 우유나 포장 이유식을 발견했음은 물론, 지구 반대편에 있는 과일 나무 속의 과일즙이나 남아메리카 산맥의 한 목동이 끌고 가고 있던 염소의 젖까지 아기에게 적합한 에너지 원임을 알아냈다. 뿐만 아니라 인도양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한 심해 어류의 간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소모량이 많아지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 이런 상황을 ‘환원 분위기’라고 한다. 반대로 바람을 불어넣어 주면 산소량이 많아지면서 ‘산화 분위기’가 형성된다. 황 교수가 실제 실험한 도자기 시편들을 꺼내자, 가마 속 공기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비율에 따라 나타나는 색이 확연히 다르다는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