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놓치지 마세요.3학년 학생들은 이차함수 그래프 모양의 핵심이 ‘대칭’ 이라는 것을
반
드시 기억해 두세요. 주어진 그래프를 관찰해대칭축과 꼭짓점을 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최댓값과 최솟값으로 연결돼 고등학교 과정으로 확장되는 발판 역할을 하거든요. 그래프를 얼마나 잘 해석하느냐에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투쟁도주
반
응은 갑작스런 자극에 투쟁할 것인가, 도주할 것인가 결정하는 본능적
반
응을 말한다. 이 연구 결과는 ‘심리과학’ 2008년 11월호에 발표됐다.6 돈보다 더 귀한 경험드디어 큐 사인이 떨어지고 카메라에 불이 들어왔다. 방청객들의 환호. 나는 다시 힘을 얻는다.“자, 마지막 최종 3인으로 ... ...
반
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931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 대학 교수인 폴 디랙은 1902년생으로 당시 29세에 불과했지만 이미 영국에서 제일가는 이론물리학자였다. 특히 양자역 ... 음전하 양성자(
반
양성자)로 이뤄진 다른 별들이 있을 가능성도 있으니까요. 사실 별들이 절
반
씩 각각의 종류로 이뤄져 있을지도 모릅니다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하겠다는 친구라면 큰 문제에 도전해 보세요. 성과는 금방 나오지 않겠지만 인생을
반
복하며 사는 건 재미 없잖아요. 청소년들은 공부 말고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꼭 시간을 내보세요. 그게 꼭 과학이 아니더라도. 나도 열심히 다른 분야 책 보다 과학자가 됐어요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참가 신청을 한다”며 “이들의 숨은 이야기를 하나씩 찾아내 노래와 함께 쟁
반
에 담아 시청자에게 선보이는 게 바로 내 역할”이라고 했다. 노래만이 아니라 시청자가 감정이입할 만한 이야기가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중요하다는 말이다. 결국 한국의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이기기 위해선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문제를 생각할 때 눈을 감고 집중합니다. 정말 어려운 문제는 침대에 누워서 해결합니다.
반
쯤 졸면서 생각할 때 멋진 해결책이 떠오르곤 하죠.”세르 교수에게 ‘어려운 문제’를 하나 냈다. 2012년 국제수학교육대회와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처럼 세계적인 행사 준비에 바쁜 한국 수학계에 조언을 ... ...
방정식 다시 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되죠.방정식 활용문제를 풀 때는 항상 미지수 x와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이 같은 값인지
반
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한 것 같아요.”박광순 선생님의 ‘방정식’ 정복 비법 전수!방정식 문제를 비롯한 수학 문제를 풀 때, 문제의 답에 관심을 갖기보다 그 풀이과정에 관심을 갖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
0을'러브'라 부르는 테니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2007년 테니스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색다른 테니스‘플레이 앤 스테이’를 선보였다. 일
반
테니스공보다 공의 압력을 줄여 속도를 낮췄으며, 경기장과 라켓의 크기도 줄여 초등학생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했다.시속 200km의 서브“얍!” 서브(서비스)를 넣는 선수의 기합소리가 경기장의 적막을 ... ...
[영재교육현장] 수학자·과학자 돼보는 대진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친구들 앞에서 발표까지 하며, 한 팀에 속한 영재들이 지혜와 능력을 총동원한다.생물학
반
은 멀리 갯벌까지 직접 찾아간다. 갯벌과 바다에 사는 동식물을 관찰하면서 갯벌생태계를 체험하는 것이다. 갯벌생태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물학 연구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이처럼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정도. 8명이었던 이어도 과학기지에 비해 늘었다. 또 과학기지 시설 중 일부는 학생과 일
반
인의 교육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홍보관에서 체험학습을 하게 되면 멀게만 느껴지던 독도가 훨씬 가까이 다가올 것이다.지난 4월 1일 우리 정부는 독도에 무인 환경방사능 감지기를 설치했다. 우리나라로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