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에 새긴 별자리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글 최규윤·kychoi33@naver.com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을 수료했다. 현재 조동기 국어논술학원에서 논술을 강의하고 있다. 문학과 역사, 과학과 철학을 통합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글쓰기에 매진하고 있다.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 아직까지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 홍윤호 교수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 동
대학원
에서‘변이 SOD1 유전자가 운동신경세포의 세포골격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보라매병원 신경과 전문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서울대 의대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표지 논문으로 다뤘다.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살바토레 토르콰토 교수와 기계공학과
대학원
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 ...
항공우주추진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아니라 글로벌적인 마인드와 어학능력을 갖춰야 한다.6. 졸업 후
대학원
에 가고 싶은데요?
대학원
에서는 이론으로만 접하던 지식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트엔진 연소실 내부의 기체의 이동을 직접 실험해보고 이를 컴퓨터로 계산하거나 분석한다. 대부분의 연구는 여러 산업체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들거나 움직임을 귀에 들리도록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있다. 바로 상명대 문화예술
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이승연 교수다. 그는 손가락을 쥐었다 펼 때 나오는 힘, 안구가 움직일 때 변하는 뇌파를 이용해 화려한 영상과 소리를 창조하는 인터미디어 아티스트다.“한마디로 매체 융합이죠. 연극 ... ...
부모의 사랑으로 수학 성적이 쑥쑥!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보살핌을 잘 받은 아이들이 더 좋은 성적을 얻었습니다.보스턴칼리지와 하버드교육
대학원
, 샘포드대학교 공동연구팀은 국립 아동보건 및 인간발달연구소(NICHD)의 도움으로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까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1300명의 수학과 읽기 성취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만 5세 까지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그보다 100배나 밝은 1등성을 보는 게 고작이라고 한다.지난 2006년 연세대 천문학과
대학원
생 조재상 씨와 동료들이 발표한 논문 ‘광공해의 현실과 실용적 해결방안’에 따르면 서울(연세대 교내)에서 달이 없는 기간 밤하늘 별의 개수는 평균 16개에 불과했다. 이를 시뮬레이션 자료와 비교해보면 ... ...
의학 및 경영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차리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의료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의료경영
대학원
을 찾고 있다.4. 앞으로 의료경영학의 전망은 어때요?사람들은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다. 관심이 많다보면 관련 산업에 투자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에서도 보건의료산업을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박사후연구원 1999년~2003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03년~현재 인하대 정보통신
대학원
교수 및 창의사업단장 함 단장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연구원으로 있던 2003년 당시 미국 ‘마르퀴즈 후즈 후’사에서 발간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인명사전인 ‘후즈 후 인더월드’에 이름 을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수학을 선택해라. 보안에 필요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그 후에
대학원
에서 IT 분야를 공부해도 좋고 보안 관련 기업체에서 인턴으로 경력을 쌓아도 좋다”라고 말했다. 21세기 보안전문가로 이름을 날리고 싶다면 수학을 꽉 붙잡아 보자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