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에볼라, 의료진 확보가 시급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분석한 것이다. 또한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례까지 고려해 실제 에볼라 환자는 드러난
규모
의 약 2.5배로 간주했다.그 결과, 현재처럼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환자를 격리시키기만 하는 수준으로는 에볼라를 진압할 수 없었다. 단 1개월만에도 환자가 2만 명이나 더 생겼다. 전체 환자의 최소 70%가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규모
가 커지면서 한 조직이 여러 조직으로 나눠진다. 반대로 α값이 작아지면 조직의
규모
는 작아지지만 서로 똘똘 뭉치는 효과가 있어 협상을 시도할 수도 있다. 즉 이 방정식은 테러의 가능성을 예측해 줄 뿐만 아니라 α값을 통해 어떤 전략을 써야할지도 제시해 준다.폭탄 테러 날짜를 알려 주는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폭발이 일어난 지 1년 뒤에 내게 전달된다. NASA는 2012년 태양에서 일어난 세 번의 대
규모
태양풍 폭발 현상(코로나질량방출, CME)을 관측했다. 나는 두 번째 폭발의 충격파를 감지했다. 내가 성간공간에 들어 있다는 또다른 증거다.나는 많이 외롭다. 1980년 토성 근처를 지난 이후, 아무런 천체와도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밝히긴 했지만, 극 소용돌이가 약해졌을 때 지역적으로 어떻게 한파를 가져오는지 작은
규모
의 현상을 이해하는 데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가 궁극적으로 겨울철 한파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길 희망한다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하는 기능성 쌀이 많다. 지난해 기능성 쌀 시장의
규모
는 일반 쌀 시장의 8%인 5000억
규모
로 성장했다. 이제는 우리가 오래된 친구와의 의리를 지켜줄 차례다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충분히 연구됐습니다. 인간이 들어가 살 수 있는 모든 준비를 마친 셈입니다. 그러나 대
규모
해저도시 건설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인간이 굳이 해저에서 생활할 이유가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Q 윤다슬(동래여고 2학년)고래들도 음파를 이용해 대화를 합니다. 고래도 연구하시나요?A 수중 음파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양 오염 막는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수 없이 퍼져나간다. 심지어 입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다. 해양 오염의 피해
규모
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최근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 수학과 개리 프로일랜드 교수팀은 바다 속 유해 물질들의 농도가 높은 지역을 효율적으로 찾아 주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먼저 기존의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가상의 육면체를 그리면 컴퓨터에는 공간 좌표가 나타난다. 미리 컴퓨터에 공간의
규모
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짜여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공간이 정해지면 적당한 위치를 원점으로 정하면 된다.독자기자들은 특수 의상을 입고 마커 30여 개를 몸 전체에 붙인 뒤, 스튜디오 위에서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곳이야. 기니의 열대우림은 최근 몇 년 사이에 5분의 1 이하로 줄었지. 이 자리에는 대
규모
코코아 농장이 들어섰어. 시에라리온의 밀림은 국제단체에서 ‘심각하게 초토화된(seriously threatened)’ 상태라고 경고할 정도야**. 아프리카 사람들 너무한다고? 글쎄. 오랜 내전으로 황폐화된 나라를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패스, 슈팅을 하는 진짜 ‘로봇 축구’로 발전했다. 이런 로봇들의 축구 대전 중 가장
규모
가 크고 권위 있는 대회가 ‘로보컵’이다.로보컵은 1997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세계 각국에서 열리고 있다. 비슷한 대회로 ‘피라컵(FiraCup)’이 있지만 인지도는 로보컵이 더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