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군"(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과학동아 l1990년 01호
- 박관근(전남 목포고 1년) 임용운(경남 창원 경원중 2년) 고윤호(서울 당산서중 1년)군이 참가한다.3차 동계연구단(90.1.15~91.1.31)은 연구원 4명, 지원인력 10명 등 14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연구팀은 1, 2차 동계연구를 통해 축적된 관측자료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남극연구의 세부항목도 ... ...
- 프로그래밍언어의 변천사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영향을 받았지만 대단히 우아하고 정교하게 설계되었다. 코볼 언어는 미국방부에서 각군에서 사용할 단일 언어의 필요성을 느껴 정부 기업 학교의 학자들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개발한 언어다. 코볼에서는 자료의 기술 방법이 좋아 자료 처리가 쉽다는 점과 자연어에 가깝게 설계된 점이 높이 ...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과학동아 l1990년 01호
- 부천시 고강동 주부의 26%가 직업병인 소음성 난청에 걸린 것으로 밝혀지는 등 민간과 군 공항 주변의 소음공해가 극심한 상태에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대책은 거의 마련돼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 ...
- AIDS가 남긴 숙제들과학동아 l1989년 12호
- 일으키지 않는다는 종전의 학설을 완전히 뒤엎은 것이다.현재 인간의 레트로바이러스는 2군(群)으로 분류된다. 백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HTLV-1, HTLV-2)와 면역체계를 와해시키는 바이러스(HIV)로 나뉘른 것이다. 이 둘은 유전적으로는 차이가 나지만 몇가지 공통점도 갖고 있다. 주로 백혈구를 ...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과학동아 l1989년 12호
- 전문가로 훈련될 뿐이다. 게다가 효율성을 내세워 자꾸 공룡처럼 거대화해 온 정부 산업 군사 구조 속에서 과학기술자들의 위치란 실로 왜소하기 짝이 없는 상태가 되어 버렸다. 오늘의 과학 기술자란 거대한 사회체제 속의 작은 부분품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아인슈타인은 꼭 50년 전인 1939년 8월2일 ... ...
- 과학ㆍ기술계의 반응 심각 병역특례 축소에 따른 부작용 우려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이 제도가 폐지되면 이러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을지도 모른다는 것.서울대생 김영준군(전기4)은 "예년처럼 대학원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대다수이지만 석사과정을 마친 후에 특례혜택을 못받는다면 차라리 지금 입영하는편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고민을 토로한다.산업계에서도 ... ...
- 세계 최대 규모의 암벽화 발견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코커서스산맥 동남부에 있는 '바쿠'유전 근교에서 최근 세계 최대 규모의 암벽화군(群)이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이렇게 많은 벽화가 일정지역에서 발견되기는 처음이라고 말하고 있다.약 6천여점에 달하는 벽화는 석기시대의 생활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고기잡이, 사냥, 말떼, 사슴 그리고 ...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과학동아 l1989년 10호
- 공급하는 열원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특히 천지표면은 겨울철에 모두 꽁공 얼어붙지만, 3군데만은 얼지않는다. 여름철에도 천지수면의 온도를 측정해보면 곳에 따라서 온도 차이가 발견되는 것은 천지 밑에도 뜨거운 물이 쉬지 않고 솟아 올라오고 있음을 말한다.또한 중국 길림성 지진 관측소에 ...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위장했다 하더라도 1시간 후면 나무를 꺾었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다.이러한 기능은 군용이외의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병충해를 발견하게 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게 한다. 또 곡물의 작황을 촬영, 가을이면 얼마나 거둘 수 있는지를 미리 산출,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게 한다.나아가 ... ...
- 측우기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자·치·푼(分) 수를 정확히 재 즉시 보고하게 하고 기록해 둘 것입니다.지방에서는 각 도·군·현의 객사 뜰에 두어 수령이 직접 강수량을 치·푼까지 측정하여 보고케 하고 있습니다."●―2㎜까지 측정해측우기(測雨器). 처음으로 나타난 빗물을 재는 그릇, 즉 우량계의 이름이다. 그 전해 가을에 만든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