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4,1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10
- ㅔ 자리에는 쓰임이 많은 ·(가운뎃점)을 넣는다. 고어인 아래아 역할도 할 수 있다.④ ㅠ 자리에는 많이 쓰는 ㅆ를 넣는다.⑤ 쌍자음 중 ㄲ, ㄸ, ㅃ, ㅉ은 ㅋ, ㅌ, ㅍ, ㅊ의 위 글자로 옮겨 편의성을 높인다.한 손 키보드 양손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한 손 키보드가 있다. 단 5개의 방향 ...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10
- ‘최고과학자와의 만남’ 이라는 이름으로 영재교육원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자리로 열렸다. 김 소장은 ‘상상력을 가슴에 품어라’ 라는 주제로, 사물을 여러 방향에서 살피는 습관을 길러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군산에서 중·고교를 졸업한 그였기에 더 애틋한 마음으로 ...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과학동아 l201110
-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우리은하에도 태양질량의 460만 배가 되는 거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가 존재한다.거대질량 블랙홀이 어떻게 생겨났고 왜 은하중심에 존재하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임명신 교수는 “여러 블랙홀이 합쳐졌거나 블랙홀에 우주먼지 등이 끌려들어가서 생겼다는 등 여러 ... ...
- 세계 최대 실험용 핵융합로 재가동과학동아 l201110
- 1997년 세계 최초로 17MW(메가와트)의 열출력을 내는 데 성공했으며, 줄곧 세계 최대 규모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업그레이드는 2009년 10월 시작돼 22개월 동안 지속됐으며, 열출력을 34MW(메가와트)까지 올렸다. 역시 토카막 방식을 사용하는 한국 KSTAR의 출력이 14MW라는 점을 생각하면 규모를 짐작할 수 ... ...
- 수학과 다른 분야 융합한 고교생 전시회 열려수학동아 l201110
- ‘수리과학연구반’ 학생 21명이 팀을 이뤄 직접 연구하고 만든 작품을 소개하는 자리였다.‘테트라포드’ 팀은 방파제에 있는 테트라포드와 화학물질의 하나인 메탄의 구조가 정사면체 구조인 이유를 분석했다. 단순히 이론적인 이유를 찾는 데 그치지 않고, 비누막을 이용해 실제 실험을 하면서 ... ...
-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수학동아 l201110
- 교수인 서동엽 수학대중화사업단장은 “21세기 사회 속에 수학은 소리 없는 영웅으로 자리 잡았다” 며 “수학의 가치와 본질을 바로 알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그런데 일반인들은 수학을 특별한 사람만 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학생 대부분은 수학을 어렵고 따분하게만 여긴다. 수학을 문제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10
- 공화국은 사라졌지만 피사의 화려한 역사는 미라콜리 광장에 남아 있었다. 이 광장 안에 자리한 피사의 사탑은 대성당, 세례당과 함께 성벽에 둘러싸여 있다. 여러 건물 중에 제일 먼저 찾아간 곳은 세례당이었다. 원기둥 위에 주황색 반구를 얹은모양인 세례당은 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세워졌다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10
- 거리만 해도 1억 5000만km=150000000km이다. 또 태양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별인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의 27만 배나 된다.그런데 이보다 훨씬 먼 우주의 별들 사이의 거리를 숫자로 나타낸다고 할 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숫자 표기법을 쓴다면, 많이 ... ...
- 휴대전화 비밀번호 18분이면 뚫린다!수학동아 l201109
-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다른 사람이 자신의 비밀번호를 알아내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을까 걱정해봤을 것이다. 복잡하 ... 만든 비밀번호의 경우 자릿수를 5자리로 늘리면 비밀번호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은 8년, 8자리로 늘리면 무려 1만 3000년으로 늘어난다 ...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수학동아 l201109
- 어떤 형태일까? 8명이 좌우로 노를 젓는 방법은 총 70가지다. 이 중에서 방향성이 0이 되는 자리는 그림5와 같이 총 4가지다. ⑤는 1950년대에 독일 선수들이 쓰기 시작하면서 유명해져 ‘독일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에이트 경기에서 캐나다 조정팀은 이 방법을 이용해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