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발전용 원자로처럼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나 치료 목적의 동위원소와
중
성자를 생산한다. 3위는 성균관대 홍병희 교수와 삼성전자 최재영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그래핀 대량 합성 기술이 차지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얇은 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전자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5% 이하여야 한다. 아디다스는 “자블라니는 최대와 최소 지름의 차가 1.0%로 역대 공인구
중
구형에 가장 가깝다”고 설명했다.자블라니는 패널 수가 8개로 훨씬 적고 패널 모양도 평면이 아니라 곡면이다(입체 패널). 그래서 공을 찰 때 에너지가 골고루 분산된다. 또 패널 수가 적어지면서 패널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망이다. 2011년 발사될 쥬노 탐사선이 목성의 극 궤도를 돌면서 목성의 내부구조와
중
력장, 자기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2020년경에 시작될 EJSM(유로파-목성 시스템 미션)은 미래의 우주 식민지로서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칼리스토에 대한 탐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400년 전 갈릴레오가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상태 회로의 활성이 저하돼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됨에 따라 과학자들의 관심이 집
중
되고 있다.아무래도 요즘 정신줄을 놓고 있는 사람이 더 많아진 것 같다. 예전보다 각양각색의 다양한 정보가 흘러넘치다 보니 필연적으로 뇌가 적응하게 된 건 아닐까. 그러나 그런 상태에서도 어쩌면 뇌는 더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동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체력이 떨어져 30km밖에 걷지 못했다. 잘 곳을 찾던
중
에 물웅덩이를 만났다. 가까이 가서 웅덩이에 돌을 던졌다. 건기의 더위를 피해 민물 악어가 서식하기 때문이다.다행히 악어는 없었지만, 모기유충이 득실거렸다. 끓여 먹을 요량으로 물통에 물을 가득 담았다. ... ...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들으라는 게 그의 지론이기 때문이다. 영화를 많이 보라는 이유는 또 있다.“과학기술
중
에는 영화에서 영감을 얻은 게 참 많습니다. 예술도 마찬가지예요. 행위예술, 전시예술이 디지털 액자를 발명하는 모티브가 됐지요.” 이번 새해에도 일반적인 신년회 대신 공연을 보러갈 예정이라는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능력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이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
학교 과정뿐 아니라 고1 과정까지 미리 학습하고 수학적, 과학적 도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다양한 주제의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새로운 실험을 설계하고 접근방식을 고민해보자. 그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학과 주임교수이다. 계산대수기하학과 수리정보이론을 연구하고 있고 수학의 대
중
화에 관심이 많다. 대한수학회 국제교류위원장과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준비위원장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호랑이, 넌 누구냐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 꿈나무인 초·
중
·고생의 마음을 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
령 시절 낙도 어린이들을 초청해 비행복을 입히고 조종사 헬멧을 쓰고 사진을 찍는 행사를 한 적이 있다. 며칠 뒤 학생들은 데려온 교사에게서 편지 한 통 받았는데 학생들이 미래 항공우주인이 되고 싶고 ... ...
아빠 없는 쥐 더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최초로 난자만으로 새끼 쥐를 태어나게 하는 데 성공했다.당시 연구진은 난자의 유전자
중
단위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h19)를 제거한 뒤 이를 정상 난자에 이식해 수정란을 만드는 방식으로 새끼 쥐를 태어나게 했다. 연구팀은 이들 쥐들의 평균수명을 조사한 결과 일반 쥐보다 ... ...
이전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1045
1046
10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