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생물 또는 생명과 공학이 깊이 연결된 새 분야이다 동물의 상태 · 행동 등의 연구에
이용
하기 위해 근년에 개발된 소형전파송수신기(電波送受信機) 야생동물의 몸에 검출기(檢出器) · 송신기(送信機) · 안테나를 부착하고 그 수신 전파에 의해 멀리 떨어져 있는 동물의 위치와 움직임 및 저작(咀嚼)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다양한 물리적 현상이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
된다. 그리고 어떠한 물리적 현상이
이용
되느냐에 따라 기술되는 수학적 방정식이 다르다. 찾고자 하는 내부 성질은 방정식의 계수에 녹아들어 있어서, 방정식의 계수를 찾으면 원하는 내부 성질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해로부터 거꾸로 ... ...
2002 물리학상 - 중성미자 검출, X선 천문 관측의 창 개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성공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고시바의 제자인 요지 도츠까 등이 5만t의 증류수를
이용
하고, 1만1천개의 광전증폭장치로 된 거대한 슈퍼가미오간데를 제작해, 태양 중성미자의 문제를 해결했다. 그뿐 아니라, 우주선이 대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만들어내는 중성미자를 관측해 중성미자가 질량을 갖고 ... ...
지구 생물체 80% 존재하는 바다 개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다른 대사작용을 한다. 기존의 육상생물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해양생물을 이해하고
이용
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현재의 생명공학적 방법으로는 고작 1%도 안되는 해양생물을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해양생명공학자들은 이 분야 종사자들에게 창의성이 상당히 요구된다고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가져야 하지 않을까.중학교 때 해보고 싶은 실험이 있었다. 과학선생님께 학교 실험실을
이용
해도 되는지를 여쭤봤더니 단번에 안된다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직접 화공약품상에 갔다. 그런데 이번에는 어린 아이에게는 위험한 약품을 팔수 없다고 했다. 실험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 좋겠다 ... ...
사람 대신 지뢰 제거와 화재 진압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계단 등반이 가능해 울퉁불퉁한 길이나 계단을 시속 4-5km 정도로 주행하면서 로봇팔을
이용
해 위험 작업을 할 수 있다.로봇의 조작 장치는 이동부와 조작부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설계됐으며, 충돌 물체나 지면의 기울기 등 주변 정보를 화상카메라와 5개의 센서로부터 송신 받아 장애물을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박사는 “만약 셀룰로오스 대신 다른 물질로 길을 만들 수 있다면 상처를 치료하는데
이용
할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유전자조작으로 세균이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을 분비한다면 상처 난 피부 부위를 따라가면서 재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태양 · 지열 · 수력 · 풍력 · 해양 · 바이오매스(biomass) 등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언제나
이용
이 가능한 에너지계기착륙장치(ILS)와 결부시켜 사용하는 일종의 무지향성 무선표지(NDB ; non directional radio beacon) 200~415kHz 사이 의 주파수로 동작한다 컴퍼스 로케이터라고도 한다 회전형 내연기관 피스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아직까지 국내에 법곤충학이 정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들 다양한 곤충을
이용
해 개구리소년의 사인을 규명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발굴현장의 흙도 정밀 분석시신이 옮겨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토양학 검사도 병행되고 있다. 유골 주변의 흙이나 유골 위에 있는 돌이 유골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중이다. 이 시료로 통해 밝혀지는 일배체형은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누구나
이용
가능하게 공개된다. 국제일배체형지도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질환유발 원인유전자에서 약물반응 연관유전자, 치료내성 원인유전자 등의 발굴이 손쉬워져 질병의 진단과 치료·예방법을 개발하는데 ... ...
이전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1045
10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