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변
대소변
사고
재앙
난리
변두리
근교
스페셜
"
변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초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소리가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신경회로가
변
화됐다. 사람형 FOXP2를 지닌 보노보의 발성기관 구조가 바뀌어 앵무새 수준으로 발음할 수 있게 된다면 칸지 정도의 의사소통능력을 지닐 경우 어떤 말을 할까. 아마도 알렉스보다는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35개로 이뤄진 펩티드 ShK가 칼슘 통로를 차단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뒤 이를 조금
변
형해 Kv1.3에 좀 더 선택적으로 달라붙는 펩티드 약물 달라자티드(dalazatide)를 만들었다. 지난 2015~17년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결과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돼 신약 개발의 한고비를 넘겼다. 지난 ... ...
도시 곳곳에 과학자 거리-연구단지… “평양이 달라졌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발명총국은 개발자와 수요자(투자자)를 매칭해 주는 지적제품전시장도 운영 중이다.
변
연구위원은 “북한은 대학과 연구기관이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직접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적극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에서 급증하고 있는 특허 출원도 이런 연구 성과 상업화 정책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유도신호를 감지해 반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이런 유전자들의
변
이로
변
이 단백질이 만들어지거나 단백질은 동일하더라도 양이 달라져 뉴런의 축삭이 뻗어 나가는 방향이 바뀌면서 다른 감각 영역으로 넘어가 배선되면, 즉 시냅스가 연결되면 공감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들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뜻밖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1999년과 2013년 사이 사망 원인의
변
화를 들여다보면 알코올을 비롯한 약물중독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고 자살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즉 풍요로운 미국을 상징하던 백인 중년층의 퇴행은 일상생활이 무너진 결과라는 얘기다. 우리나라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인체를 숙주로 여겨 영양분만 빨아먹고 자기 증식에만 열중하는 기생충 같은 존재가 된
변
이 세포가 모인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 신문을 보니 북한 병사 기생충 보도에 구충제 판매량이 두 배 늘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구충제를 복용한 게 언제인지도 모를 정도인 필자도 이참에 한 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한편 유럽은 1.7%였고 북미의 경우는 그 세배인 4.8%였지만 아시아계 87명의 22%가 AA 관련
변
이가 있는 걸로 설명이 된다. 즉 동아시아의 전통 약초 처방이 많은 곳일수록 AA 관련 간암 발생의 위험성도 높다는 게 뚜렷이 입증된 것이다. 실제 연구자들은 1997년에서 2003년 사이 대만의 전통의학 처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시간이 훨씬 짧았다. 작은 통속에 먹이가 들어 있어서 앞발로 꺼내 먹어야 하는 경우도
변
이 생쥐가 훨씬 쉽게 먹이를 꺼냈다. 그렇다면 왜 생쥐는 이처럼 앞발가락(손가락?)을 정교하게 쓸 수 있었음에도 그 가능성을 스스로 봉쇄해버린 것일까. 얼핏 생각해도 이런 능력이 생존에 도움이 될 것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방법으로 꿀 속 보툴리누스균을 죽이긴 힘들다. 영아 보툴리누스증의 전조 증상으로
변
비가 생길 수 있으며, 행동이 느려지고 침을 흘리며 평소와 달리 눈꺼풀이 처지는 모습을 보인다. 심하면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으로 사망에 이른다. 반면, 일반 식중독 증상인 구토나 설사는 나타나지 않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옥시포토박테리아와 멜라이나박테리아가 갈라졌다. 연구자들은 분자시계, 즉 DNA 염기의
변
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이들이 갈라진 시점이 대략 25년 전이나 26억 년 전으로 추정했다. 즉 오늘날 시아노박테리아의 공통조상은 광합성을 하지 않았고 세 그룹이 갈라진 뒤 옥시포토박테리아의 조상이 어느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