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잘못"(으)로 총 1,8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 희토류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땅(지각)에 희귀하게 존재하는 원소이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물론 그런 원소들도 여럿 있다). 이보다는 원소를 분리하기가 어려워, 순수한 상태로 존재하는 양이 적은 원소들이다. 1869년 멘델레예프가 발표한 주기율표에 등장한 63가지 원소 가운데 희토류는 ... ...
- 악몽에 나올 고양이팝뉴스 l2019.02.19
- “우주여행용 헬맷을 쓴 고양이 같다”고 말하는 네티즌들도 있다. 고양이가 특별히 잘못(?)을 저지른 것은 아니다. 사각형 아크릴 두껑에 머리를 집어 넣었을 뿐이다. 그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일으킨다. 고양이는 훨씬 무섭고 미스터리한 존재로 보인다. 눈까지 빛나니 공포감은 더욱 커진다. ... ...
- “AI로 응급환자 생존률 높이자” 의료-ICT과제 공모동아사이언스 l2019.02.18
- 와 연계해 환자의 증상에 가장 적합한 응급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응급실을 잘못 찾아 다른 응급센터로 이송하느라 치료 적기를 놓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개발에 나섰다”고 말했다. 먼저 가장 시급한 4대 응급질환인 심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 중증외상, 심정지에 대한 ‘AI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음의 우생학2019.02.17
- 우생학이 옳지 않은 학문이었기 때문이죠. 윤리적으로도 그렇지만, 과학적으로 잘못된 학문이었습니다. 우월한 유전자, 열등한 유전자 우생학은 인간을 보다 나은 존재로 만들려는 순수한 시도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국 비극으로 끝났다. 그런데 과연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우생학의 비극이 ... ...
- "소아비만 예방하려면 하루 1시간 운동,TV·스마트폰 1시간만 써야"동아사이언스 l2019.02.14
- 2008년 8.4%에서 2016년 14.3%로 크게 상승했다. ‘어린 시절에 찐 살은 나중에 키로 간다’는 잘못된 속설이나, 청소년기 건강보다는 학업에 집중하는 환경 탓이다. 소아비만을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동맥경화 등 대사증후군이 조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 ...
- 여성들의 '오해'…젊어선 "뚱뚱해" 나이 들어선 "날씬해"2019.02.14
- 여성들은 젊을 적엔 자신이 실제보다 뚱뚱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나이가 들면 반대로 실제보다 날씬하다고 오해하는 경향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과 이윤미 교수와 국립암센터 최귀선 박사 공동 연구팀은 2016년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 조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2019.02.12
- 거울을 본다는 건 놀라운 발견이다. 저자들은 논문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한 말로 잘못 알려진 문구로 끝내고 있다. 자신들의 연구결과로 물고기가 이해력이 있고 똑똑한 동물이라는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면서. “나무를 타는 능력으로 물고기가 평가받는다면, 물고기는 평생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쇠똥구리에겐 똥이 복지고, 권리다 2019.02.10
- 편이 낫다’며 쇠똥구리를 안락사시키는 것은 너무나도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서 비롯된 잘못입니다. 쇠똥구리에게는 똥이 복지이자 권리입니다. 똥을 굴리는 쇠똥구리. 쇠똥구리도 분명 지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무엇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에 좋은지 나쁜지 알고 있고 이를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9.02.07
- 추정된다.-사진 제공 김도윤 처음 발견될 당시 다른 공룡의 알을 훔쳐 먹는 것으로 잘못 알려져 ‘알 도둑’이라는 오명을 얻었던 깃털공룡 ‘오비랍토르’ 류의 신종 공룡을 국내 연구팀이 주축이 된 국제연구팀이 발견했다. 오비랍토르는 후속 연구 결과. 새처럼 자신의 알을 품는 모성애 또는 ... ...
- 실험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2019.02.04
- 않고 다음 세대로 계속 이어져야 가능한 일일 것이다. 중간에 약속된 지시사항들이 잘못 이해돼서도 안 된다. 물론 에든버러대 역시 그때까지 존재해야 한다. 아니면 최소한 이 프로젝트가 다른 연구 기관으로 이관돼야 한다. 찰스 코켈 에든버러대 교수는 박테리아의 수명을 알아보기 위한 ‘500년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