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자
baud
vaud
뉴스
"
보
"(으)로 총 1,504건 검색되었습니다.
WHO "전세계적 홍역 확산 배후에 반백신 운동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2
교수는 20일 포브스에 낸 기고문에서 “WHO가 백신 망설임을 선정한 것은 공공
보
건계에 퍼지는 사이비과학 백신에 대한 선전에 대처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누가 백신을 불신함으로써 가장 큰 이득을 얻는가가 문제”라며 “규제와 과학 연구에 의해 ... ...
전국 홍역·RSV 확진 잇따라…
보
건당국 "확산방지 주력"(종합2
보
)
2019.01.21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산후조리원은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이 신생아를 돌
보
지 않도록 해야 하고 방문객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등 관리 수칙을 지켜야 한다. ... ...
아·태지역 미세먼지건강 문제 연구할 WHO 전문센터 서울에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이후 2008년에는 말레이시아에 설립된 WHO 지구서비스센터가 있다. WHO 아·태 환경
보
건센터가 공식 출범하게 되면 아시아 지역의 WHO 전문센터는 총 3개가 된다 ... ...
노동 생산성 하락에도 존재감…미세먼지의 '위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생각하나 오히려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
여준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속에서 공사현장에서 인부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사람도 운동을 더 하기 때문 아닐까. 이래서 사람과 개는 ‘환상의 커플’인가
보
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때문이다. 토마즈 술래즈 PAS 고생물학연구소 연구원은 논문에서 “리소비치아
보
자니와 같은 트라이아이스 후기의 디키노돈트들은 점점 커지는 육식 천적들의 등장에 맞서 음식을 저장하고 소화하는 능력이 도리어 극대화됐을 것”이라며 “거대한 수궁류가 이 시기 완전히 사라졌다는 기존의 ... ...
밀렵꾼에게 내린 이색 판결
팝뉴스
l
2019.01.05
팝뉴스 제공 지난 17일 하나의 판결이 미국 워싱턴포스트 등에 소개되면서 큰 화제를 일으켰다. 판사는 한 남자에게 애니메이션 ‘밤비’를
보
라고 명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인 ... 무거운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팝뉴스가 전하는 가벼운 소식을 사진과 함께 ‘가볍게’ 즐겨
보
세요~ ... ...
박능후 복지 장관 "안타까운 사건…재발 막는 예방책 찾겠다"
연합뉴스
l
2019.01.03
조성을 위한 논의를 지속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박능후
보
건복지부 장관이 2일 오후 외래 진료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숨진 고(故)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적십자병원 장례식장으로 향하고 있다. yatoya@yna.co.kr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공격 받는 의사들
2019.01.02
싶은 사람은 없다》라는 책을 펴냈었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에 누구
보
다도 먼저 앞장섰던 분이기 때문입니다. 안전한 진료 환경 그리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차별 없는 세상이라는 유족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SNS서 확산되고 있는 故 임세원 교수 ... ...
진주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자국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다음 뒷발 사이이 간격은 10~20m였다”며 “(오늘날의 개구리처럼) 뛰어 이동한 흔적으로
보
인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견된 개구리 화석은 11월 개관한 ‘진주 익룡 발자국 전시관’에서 볼 수 있다. 임종덕 학예연구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중생대 백악기 진주층에서 세계에서 가장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